매일신문

'서대구 고속철도역' 착공은 했는데… 역세권 개발사업은 '물음표'

지난해 연말 예정됐던 용역 연기… 진·출입로 '교통광장' 부지 매입도 난항

서대구 고속철도역 조감도. 대구시 제공
서대구 고속철도역 조감도. 대구시 제공

최근 대구 동서 균형발전을 이끌 서대구 고속철도역이 첫 삽을 떴지만, 역세권 개발사업은 기본구상 및 개발방안 도출이 늦어지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시가 서대구역사 진·출입로 인근 부지 매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역사 완공 후 '교통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9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연말로 예정했던 '서대구역세권 개발 기본구상 및 개발방안 수립 용역' 결과 발표를 올해 5~6월로 미뤘다. 시는 해당 용역에 민간투자사업(BTO)으로 역사 주변 달서천 하수처리장과 염색폐수처리장을 북부하수처리장으로 통합 지하화하고, 지상부에는 복합환승센터와 시민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포함했다.

하지만 용역 과정에서 민간투자사업의 현실성이 떨어지고 세부적인 주변 교통대책도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결과 발표가 계속 늦어지고 있는 것. 이에 일각에서는 "서대구역세권 개발사업에 흥미를 보이는 기업이 없는 것이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때문에 시는 지난 2월 대구경북연구원에 의뢰해 '서대구역세권 대개발프로젝트 민간투자 공모사업 로드맵' 용역을 새로 발주했다. 이를 통해 역세권 개발의 세부 절차를 결정하겠다는 취지다.

대구시 관계자는 "개발계획은 순조롭고 실제로 관심을 보이는 기업도 있었지만, 사업의 공공성과 발전 가능성을 더 고려하고 관련 법령 적용에 대한 자문이 필요해 용역을 추가로 발주한 것"이라고 했다.

시가 이현삼거리와 서대구역 사이 2만6천여㎡(8천여평) 땅에 조성하려던 '교통광장' 구상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해당 부지의 대부분 땅을 시가 사들이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시는 서대구역을 조성하면서 이현삼거리에 진·출입로를 연결, 사거리로 만든 뒤 주변부에 광장과 주차장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동대구역세권에 비해 부족한 도로 넓이와 주변 여건으로 인해 심한 교통난이 예상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공간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부지가 워낙 넓고 보상비도 상당해 매입에 어려움이 있다. 교통난 해소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만큼 부지 매입을 서두를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