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급자 절반은 은퇴 후 소비수준이 현역 시절 5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연구소)가 22일 펴낸 '국내 국민연금 수급자의 은퇴생활 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연구소가 65∼74세 국민연금 수급자 65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현재 생활 소비수준이 현역 시절의 50% 미만이라고 답한 비중이 48.6%에 달했다. 현재 소비수준이 현역 때의 30%도 안 된다고 응답한 비중도 15.8%였다. 현역 시기와 비슷한 소비수준을 유지하는 사람은 0.6%에 불과했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현재 노후 생활비용은 월 평균 201만원이었다. 이는 통계청이 발표한 최소 노후생활 비용인 183만원은 넘는다. 하지만 여가생활 비용 등을 포함한 적정 생활비용 264만원에는 약 60만원 모자란다.
현역 시기에 자신을 상류층이라고 인식한 은퇴자 81.3%가 은퇴 후 자신이 중산층으로 이동했다고 봤고, 6.3%는 은퇴 후 저소득층이 됐다고 했다. 현역 때 중산층이라고 생각한 사람의 25.9%는 은퇴 후 저소득층으로 이동했다고 여겼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12.8%는 20∼30대부터, 41.7%는 40대부터 노후자금 준비를 시작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현재 노후 생활비용은 대부분 적정 수준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설문 참여자는 자신들이 보유한 금융자산이 평균 82세에 소진될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의 52.6%는 금융자산을 소진한 뒤 추가자금을 마련할 방법이 없다고 했다. 33.8%는 자녀 부양을 기대한다고 답했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61.5%는 지급받은 국민연금을 전액 생활비용으로 지출하고 있고, 금융상품에 투자하거나 저축하는 사람은 27.1%에 그쳤다. 금융상품 가운데 연금(19.9%)과 건강보험 상품(18%) 등의 선호도가 높았다. 예·적금(9.5%), 투자상품(4.6%)이 뒤를 이었다.
퇴직 후 국민연금 수급자의 42.3%가 소득활동을 지속하고 있었다. 소득활동 주요 이유로는 47.3%가 생활비 마련을 꼽았다. 이 밖에 소일거리 목적(18.5%), 자아 실현(8.4%), 소속감(9.1%), 보람(7.3%) 등 금전 외의 만족을 위한 경우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