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율이 급등하면서 수출기업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동안 정체돼 있던 원·달러 환율이 3월 들어서 오르기 시작해 4월에는 상승폭이 더욱 커졌고, 이로 인해 원화 가치가 절하되면서 수출상품 가격경쟁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출 주력인 반도체 설비투자 규모가 줄어드는 등 수출이 크게 반등하기는 단정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2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 3월 원화의 주요 27개국 대비 실질실효환율지수(2010년 100)는 118.77로 지난해 7월(118.43)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실질실효환율이란 교역상대국에 대한 각국 돈의 실질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 지수가 하락했다는 것은 원화 가치가 절하됐다는 의미다.
원·달러 환율은 1∼2월 1천120원대에서 3월 말 1천135.1원까지 올랐다. 4월에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하락 충격과 외국인 역송금 수요로 인해 1천160원 선까지 급등했다.
환율은 당분간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1분기 GDP 증가율이 3.2%를 기록하는 등 미국 경기가 유럽이나 한국보다 좋아 당분간 글로벌 달러 강세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환율이 오르면 수출상품의 달러화 표시 가격이 내려가기에 수출업체에는 호재로 작용한다. 하지만 최근 수출 부진은 가격요인보다는 반도체 등의 수요 증가세 둔화에 따른 결과여서 환율 상승효과가 크진 않다는 분석이 있다. 전문가들은 "환율이 오르면 수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 물량 자체가 둔화한 상태이기 때문에 큰 규모의 수출 실적 상승은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이 경상수지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앞서 수출 감소와 배당금 해외 송금이 겹치면서 4월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보통 환율이 오르면 수출이 늘고 수입은 줄어 경상수지 흑자 폭이 커질 수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4월에는 외국인 배당 지급이 많아 경상수지 흑자 폭이 줄어들 수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