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당, 공천 혁신안 먼저 만들어 놓고도 선점 당할 판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자유한국당이 일찌감치 공천 혁신 시스템을 만들어 놓고도 후속 작업이 중단돼 '공천 혁신' 타이틀을 더불어민주당에 내줄 처지에 놓였다. 민주당이 정치신인과 여성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 혁신안에 시동을 걸고 있는 가운데 한국당은 지난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마련한 정당 사상 첫 정량적 공천 평가안을 묵히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초 김병준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최병길 전 비대위원과 함께 공천 시스템 혁신안을 만들어 처리하려 했다. 하지만 비대위가 임시 기구여서 차기 지도부인 황교안 체제에 넘겨 처리하는 게 맞다고 보고 완성된 구성안을 전달했다.

이에 새롭게 들어선 '황교안 지도부'는 신정치혁신특별위원회를 통해 공천 시스템 개혁, 국회의원 특권 개혁, 선거제도 개혁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비대위에서 넘겨받은 '공천 혁신안'도 논의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한국당은 패스트트랙 후폭풍이 몰고 온 장외투쟁 때문에 공천 작업에는 손도 대지 못하고 있다. 총선이 1년도 남지 않았지만 선거구 획정은 물론 인재풀을 변화·발전시키기 위한 공천 작업을 뒤로 미룰 수밖에 없는 처지인 셈이다.

하지만 언제든지 비대위가 제시한 '공천 혁신안'은 부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정치특위 위원장을 맡은 신상진 의원은 지난달 말 "공천 시스템 개혁, 국회의원 특권 개혁, 정치 진입장벽을 낮추는 방안 등 두루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매일신문이 입수한 '공천 혁신' 세부안에 따르면 정치신인은 역량중심으로 평가하고 당협위원장이 아닌 국회의원은 역량과 당무를 6대 4의 비율로 평가한다.

당협위원장을 맡은 의원은 의정평가·당기여도를 나타내는 별도의 항목(60% 반영)이 도입되며 당무감사 평가 40%도 반영된다.

의정평가·당기여도를 나타내는 별도의 항목은 입법기여도(25%), 상임위 기여도(15%), 국회 참여도(10%) 등이 포함된다. 또 지역에서의 기여도(15%), 지역 당원 확보(15%), 당 행사 참여(10%), 당 명성에의 기여도(10%) 등도 배점 기준이다. 이같이 평가한 객관적 점수를 바탕으로 원내·외 당협위원장의 하위 30%는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거나 재공모 자격을 부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