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대통령 제안 따라 여야정협의체 가동 추진...성사까지는 난제 산적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진행된 취임 2주년 대담에서 제안한 여야 지도부 회담과 관련, 청와대가 10일 "의제에 대해서는 논의 과정에서 조율이 이뤄질 수 있다. 이번 달 안에는 회담이 열릴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여야정협의체 가동을 위한 준비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하지만 장외투쟁을 계속하고 있는 자유한국당이 이에 곧바로 응할지는 여전히 미지수여서 실제 협의체 가동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청와대 정무 라인은 이날 여야 지도부 등을 접촉하며 회담 의제와 시기 등에 대해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조만간 날짜를 정할 수 있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문 대통령이 의제로 제시한 대북 식량 지원 문제 외에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등 현안 전반을 논의하자는 언급을 10일 하자 청와대 측은 "의제는 회담 준비 과정에서 얼마든지 서로 얘기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정 의제를 두고 '이 사안은 무조건 안 된다'고 선을 그어놓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북정책, 패스트트랙 문제뿐 아니라 추가경정예산안, 탄력근로제 및 최저임금 관련 법안 등 민생법안 이슈까지도 의제에 포함될 여지가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그러나 대북정책, 패스트트랙 등에서 여야간 시각차가 여전해 의제 조율이 속도를 내기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여전히 크다.

더욱이 한국당이 더불어민주당, 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원내 교섭단체인 여야 3당만으로 참여를 제한하자는 의견을 제시한 가운데 이에 대해서는 청와대가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민주평화당과 정의당 지도부도 포함해 회담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10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 및 북핵외교안보특위 연석회의에서 "수차례에 걸쳐 제1야당을 제1야당으로 인정하는 여야정 협의체를 요구했지만, 청와대와 여당이 말하는 협의체는 한국당을 들러리로 세우는 5당 협의체, 범여권협의체"라고 비판했다.

협의체 참석 범위에 대한 이견까지 대두된다면 회담 준비는 더욱 진통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