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역류성식도염 증상으로 괴롭다면 역류원인 제거 치료 필요

김신형 원장
김신형 원장

음식에 체하였을 때 트림과 함께 위에서 목으로 넘어오는 시척지근한 물을 '신물'이라고 한다.

단순히 체하였을 때에만 신물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역류성식도염 증상으로도 나타난다. 이때 가슴 통증이나 목이물감 등의 역류성식도염 증상과 함께 나타나 일상생활을 방해한다.

위장의 내용물과 위산의 역류로 인해 식도에 발생하는 염증 혹은 그로인해 나타나는 증상을 총칭하는 역류성식도염은 다양한 증상을 가지고 있다.

역류성식도염의 대표적은 증상으로는 가슴 쓰림과 통증, 신물이 올라오는 증상으로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것 말고도 기침, 목이물감 등의 이비인후과적인 증상도 자주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의 원인은 위산의 과다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위산의 과다를 막고 위장을 보호하는 제산제가 역류성식도염 치료에 사용될 때가 많다. 하지만 역류성식도염 원인에 있어 신체가 '왜 역류를 막지 못하는 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위편장쾌 네트워크 대구점 경희예한의원 김신형 원장은 "건강한 신체는 물구나무 자세를 취하더라고 위산과 같은 위장의 내용물이 역류하지 않는다.

이는 하부식도괄약근이라는 곳에서 역류를 막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부식도괄약근에 문제가 발생해 느슨해진다면 역류를 막지 못해 신물이나 목이물감 등의 역류성식도염 증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부식도괄약근 혼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하부식도괄약근은 위무력과 담적에 영향을 받는다.

담적이 발생하면 위장의 근육이 붓고 딱딱해져서 음식물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하고 쌓이면서 위장내의 압력이 증가한다. 이에 하부식도괄약근이 영향을 받는 것이다.

그래서 효과적인 역류성식도염 치료를 위해서는 담적과 위무력증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역류성식도염 치료는 단순히 위산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역류를 막지 못하는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역류를 막지 못하는 주요한 원인이 위장근육이 허약해진 위무력증과 담적인 만큼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역류성식도염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

대구경희예한의원에 따르면 역류성식도염 맞춤 한약처방으로 울체된 기를 풀어주고 자율신경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기울증을 풀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조화를 이루게끔 하여 자율신경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위장의 건강을 회복하며 과한 위산의 역류를 완화하고, 흉통, 복통, 인후부 불쾌감, 쉰목소리, 호흡기적 증상 등의 다양한 역류성식도염 증상을 개선시켜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원장은 "역류성식도염 치료에 있어서 원인을 제거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치료를 진행하다가 조금 좋아지는 증세 때문에 예전의 나쁜 식습관으로 돌아가 재발 때문에 고생하는 환자가 많다.

그래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치료와 함께 적절한 식습관 생활습관 관리도 함께 진행할 수 있다면 지긋지긋한 역류성식도염 재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