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출어람 청어람(靑出於藍 靑於藍). 청색은 쪽에서 나왔으나 쪽빛보다 더 푸르다고 했는데 정치판에선 이 말이 들어맞지 않은 것 같다. 멘토(mentor)·멘티(mentee)로 연결되는 정치인들을 살펴보면 멘토를 뛰어넘은 멘티를 찾아볼 수 없다. 학문이나 예술 분야에선 스승을 능가한 제자가 숱하게 많은데 왜 정치판에선 멘토를 뛰어넘은 멘티가 나오지 않을까?
정치판에서 멘토·멘티로 먼저 거론할 수 있는 인물이 부녀(父女) 사이인 박정희·박근혜 전 대통령이다. 아버지 박 전 대통령이 보여준 리더십과 용인술을 딸인 박 전 대통령은 보여주지 못했다. 아버지의 부정적 모습을 빼닮았다.
김영삼 전 대통령으로부터 정치를 배운 김무성 의원도 김 전 대통령의 대도무문(大道無門)으로 대변되는 통 큰 기질을 계승하기는커녕 마음에 안 들면 들고 튀는 것과 같은 단점을 이어받았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박지원 의원도 마찬가지다. 김 전 대통령의 인내와 끈기 대신 박 의원은 말 바꾸기 등 좋지 않은 점을 닮았다. 이회창 전 총재와 그를 통해 정치에 입문한 유승민 의원 등 정치판의 멘토·멘티 대부분이 오십보백보다.
오늘로 서거 10주기를 맞은 노무현 전 대통령을 멘토로 하는 멘티는 두 사람이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다. 안타깝게도 두 사람 모두 노 전 대통령을 뛰어넘지 못하고 있다. 노무현 정신은 통합과 실용, 두 가지다. 국민통합을 위해 노 전 대통령은 떨어질 줄 알면서도 부산에서 출마하는 등 지역주의 벽을 깨고자 노력했다. 또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국익을 우선하는 실용을 택했다. 한·미 FTA 체결, 이라크 파병 등이 대표적이다.
통합과 실용이란 두 잣대로 지난 2년 문 대통령이 걸어온 길을 평가하면 후한 점수를 주기 어렵다. 진영 논리에 파묻혀 분열을 촉발하고 실패한 정책들을 고집하는 등 통합과 실용에 배치되는 행보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눈 맞추지 말고, 악수하지 말고, 뒤돌아서서 등만 보고 가게 하자고 광주 시민들에게 행동 지침을 얘기한 유 이사장도 매한가지다. 두 사람 모두 노 전 대통령엔 족탈불급(足脫不及)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