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에서 정부의 긴축 조치에 항의하기 위한 총파업으로 국가가 사실상 마비됐다. 29일(현지시간) 토도 노티시아스 방송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최대 노동단체인 전국노동자총연맹(CGT)이 이날 24시간 총파업을 벌이면서 전국의 경제활동이 대부분 멈췄다.
CGT 소속 근로자들이 총파업에 동참하면서 전국의 버스, 열차, 택시, 지하철 등의 운행이 대부분 중단됐다. 대표 항공사인 아에로리네아스 아르헨티나가 운영하는 330편의 항공기가 결항하면서 승객 3만7천여명의 발이 묶이기도 했다. 파업 여파로 식품점, 주유소, 학교, 은행, 법원, 곡물 수출 항구 등도 거의 운영이 중단됐다. 병원은 비상 서비스만 제공했다.
이번 총파업은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지원받은 정부가 시행 중인 긴축정책에 항의하려고 조직됐다. 아르헨티나는 지난해 물가상승 속에 대외 부채 지급 능력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자국 통화 가치가 급락하자 국제통화기금(IMF)과 560억 달러(약 63조원) 규모의 구제금융 대출에 합의한 바 있다.
아르헨티나는 당시에 구제금융을 지원받는 조건으로 재정적자 규모를 낮추는 자구안을 제시한 뒤 공공요금 인상, 재정 복지 지출, 각종 보조금 대폭 삭감 등 긴축정책을 시행했다. 중도 우파 성향의 마우리시오 마크리 대통령은 높은 실업률 등 경제 침체와 빈곤율 상승 속에 야권은 물론 많은 국민의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CGT는 이번 총파업은 마크리 대통령이 지난 2015년 취임한 이후 조직된 5번의 파업 중 최대 규모라며 정부의 긴축정책 탓에 1만4천개의 중소기업이 폐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은 연간 50%에 달하는 물가상승률로 구매력을 상실했다며 마크리 대통령은 경제 쇠락을 막기 위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