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히틀러, 연합군 기만 작전으로 상륙지점 파악 못 해

노르망디 상륙 75주년, 나치 기밀 전문 공개

2차 세계대전의 분수령이 된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1944년 6월 6일)은 히틀러의 나치군 수뇌부가 연합군의 '포티튜드(불굴의 용기) 작전'이라는 기만 작전에 넘어가 상륙지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이 주요 성공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30일 국립컴퓨터박물관(NMC) 연구원들이 최근 75주년을 맞이하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앞선 2년간 나치 지도자 히틀러와 장군들 간에 주고받은 기밀 전문들을 발견했으며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앞둔 독일군의 혼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고 전했다.

NMC는 영국의 암호해독센터인 블레츨리 파크 산하 기관으로 블레츨리 파크에서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4개월 앞둔 1944년 2월부터 콜로서스라는 암호해독 장비를 이용해 히틀러가 일선 장군들에게 보내는 이른바 '로렌츠 코드'(Lorenz code)를 해독했다. NMC의 스티븐 플레밍은 더타임스에 "이들 정보기록은 그동안 국립문서보관소 공공기록물로 보관됐으나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아 이번에야 빛을 보게 됐다"고 설명했다.

1944년 4~5월 중 독일 최고사령부와 일선 장군들 간 전문에 따르면 연합군은 당시 이중첩자와 가짜 탱크 및 전투기 등을 동원하는 방법으로 연합군이 노르망디가 아닌 파-드 칼레 지역에 상륙하려는 것으로 보이게끔 기만 작전을 펴고 있었다. 독일군 최고사령부는 1944년 5월 일선 장군들에 보낸 전문에서 북프랑스나 벨기에 지역을 지적하며 "적들이 이들 지역에 상륙할지 아직 불분명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상륙작전 수 주 전인 상황에서 아직 상륙지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당시 콜로서스 해독기를 운영했던 요원들은 자신들의 결과물을 보지 못하고 또 이후 수십년간 비밀규정에 묶여 자신들의 업무에 대해 말할 수 없었으나 29일 처음으로 자신들이 해독한 기밀 전문을 접하고 감격해 했다고 더타임스는 전했다. 아직 생존한 해독 요원들은 모두 90대 중반의 노인들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