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 공무원들 출장비 조작 의혹, 낱낱이 밝혀야

대구시가 서구청과 달성군청을 뺀 6개 구청에 '출장여비 집행실태 조사계획' 공문을 보냈다. 한 퇴직 공무원이 대구 공무원들의 허위 출장 기록과 이에 따른 과다 출장비 수령 의혹을 공익 제보 형태로 제기한 데 따른 조치다. 제보처럼 의혹이 사실이라면 적잖은 파장이 예상되고 철저한 규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놀라운 일은 퇴직 공무원의 행동이다. 먼저 공직 사회의 비리 의혹 제보를 위해 정보공개 청구로 지난해 1년간의 6개 구청 직원들의 출장 내역과 행정정보 시스템 접속 이력 등을 직접 모은 점이다. 또 자신이 몸담은 공직의 어두운 부분을 들추기 쉽지 않은 분위기에도 이를 바로잡으려 신고한 사실도 그렇다.

그가 과거 목격했고 확보한 자료로 제기한 부당 출장비 수령 의혹은 상당히 구체적이다. 대구시는 전수조사를 통해 철저히 진상을 밝혀 후속 조치를 해야 한다. 조사 결과, 사안에 따라 사법 처리는 물론 징계나 허위 출장비 환수 조치도 해야 한다. 액수의 정도를 떠나 이는 명백한 세금 도둑질이나 다름없다.

앞서 경북도청에서는 지난 2016년 대구에서 안동·예천의 신도청으로 옮긴 뒤 직원들 사이에 초과근무 수당을 받으려 저지른 근무기록 허위 작성 행위와 같은 범죄가 지난해 불거졌다. 경북도청이 뒤늦게 부랴부랴 개선책을 마련, 시행에 들어가는 소동이 빚어진 지 불과 1년여 만에 또다시 이런 의혹이 대구 공직 사회에서 터졌으니 공익 제보 조사 결과가 궁금할 뿐이다.

어느 때보다 대구가 처한 힘든 사정을 모르지 않을 대구 공직자들이 제 호주머니 채울 욕심에 하루 1만~2만원의 세금 도둑질에 너도나도 나서는 그런 도덕적 해이는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대구시가 엄정한 조사와 마땅한 조치를 망설이지 말아야 하는 까닭이다. 비록 바늘 도둑의 비리 싹일지라도 일찌감치 잘라 소도둑이 되는 후환을 남기지 말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