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척추관협착증, 근본 원인 제거해야 재발 위험 없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박경우 대표원장
박경우 대표원장

척추, 관절이 건강해야 노년에도 건강한 삶을 지속할 수 있다. 척추, 관절에 이상이 없으면 비록 나이가 들었더라도 몸을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고, 자연스럽게 운동이 되어 건강도 유지되며 삶의 질도 높아지게 된다.

특히 몸의 중심을 이루는 허리가 아프게 되면 모든 활동이 어려워 삶의 질은 급격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척추는 다른 신체 부위와 달리 20대부터 퇴행성 변화가 시작된다. 50대 이후가 되면 급격히 악화될 수 있어 통증과 질환에 취약하게 된다. 이처럼 노년층의 허리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질환이 척추관협착증이다.

우리 몸의 척추뼈 안쪽에는 파이프처럼 긴 통로가 있다. 이 통로를 척추관이라 하며 척추신경과 신경가지가 지나간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거나 또는 다른 여러 요인에 의해 이 관이 좁아질 수 있는데, 좁아진 척추관이 그 속의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하면 허리가 아프고 보행 시 다리가 저려서 오래 걷기 힘들어진다. 몸을 앞으로 구부리면 통증이 완화되기에 이러한 습관이 오래되면 허리가 구부정하게 된다. 그리고 다리가 저리고 아프다가도 쪼그리고 앉아서 쉬면 괜찮아지는 특징이 있다. 신경 압박이 심하게 진행되면 다리의 힘이 약해지고 감각 이상 등으로 보행 장애를 겪기도 한다.

척추관협착증은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술을 비롯하여 다양한 치료를 받더라도 재발되는 경우가 흔하다. 이 때문에 척추관협착증을 치료해도 재발하고, 치료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질환으로 여기는 환자가 많다.

이러한 척추관협착증의 복합적 원인을 한 번에 해결하고, 치료효과가 높은 시술법으로 추간공확장술이 주목받고 있다.

서울 광혜병원 박경우 대표원장은 "추간공확장술은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추간공'을 넓혀주는 시술로써 비수술적 요법이면서도 수술적 요법의 치료효과를 얻는 시술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추간공확장술은 추간공 주위의 인대를 긁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엉겨 붙어있는 유착을 박리한다. 이후 넓어진 추간공을 통해 염증유발물질을 척추관 및 추간공 밖으로 끄집어 내어 완전히 제거한다.

이처럼 척추관 및 추간공내 염증을 없애고 좁아졌던 추간공을 확장하게 되면, 통증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이 제거되기에 재발 우려 또한 적어진다. 시술은 부분마취로 진행되어 심리적 부담이 적다. 옆구리를 3~4mm 절개해 특수 키트를 추간공까지 삽입한 후 염증과 유착을 제거한다. 시술 시간이 10분~15분 정도다."라며 "고령 및 만성질환 환자들에게도 시행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