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일 경제전쟁]대구시·경북도, 일본 수출규제 및 백색국가 제외 대응책 마련 부심

피해 품목 집중 모니터링…소재부품산업 육성책 마련키로

대구시 일본수출규제 비상대책단은 2일 오후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일본의
대구시 일본수출규제 비상대책단은 2일 오후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조치에 따른 대응책을 논의했다. 대구시 제공.

한·일 경제전쟁에 대응해 대구시와 경상북도도 긴급 회의를 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대구시는 2일 오후 이승호 경제부시장 주재로 일본수출규제 비상대책단 비상대책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서 대구시는 일본 수입액 의존도가 50%를 넘는 25개 품목 중 전략물자에 해당되는 21개 품목을 중심으로 수급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수입 지연 시 대책, 기업 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신속한 대체소재 발굴을 지원하고자 대구TP 나노융합실용화센터를 통한 품질인증 및 신뢰성평가 등을 우선 제공하고, 대구신용보증재단을 통해 피해기업에게 기업당 2억원씩 최대 100억원을 보증요율 연 0.9% 고정금리로 지원하기로 했다.

지역 소재부품산업을 육성하도록 정부의 국비지원 사업과제로 복합 R&D 분야 과제 2건과 지역 기업 연계 R&D사업 2건 등을 공모 신청할 방침이다.

대구상공회의소도 2일부터 기업애로접수센터를 운영한다. 애로사항을 접수해 전략물자관리원, 대한상공회의소, 대구시,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전달하고 기업에 필요한 지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리할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일 휴가를 반납하고 도청 회의실에서 일본 수출규제 대응에 따른 종합대책회의를 열고 있다. 경북도 제공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일 휴가를 반납하고 도청 회의실에서 일본 수출규제 대응에 따른 종합대책회의를 열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 역시 2일 긴급 회의를 열고 일본 수출규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날 휴가를 반납하고 도청으로 복귀해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하고 대책회의를 열었다.

경북도는 ▷정부 대응책과 연계 방안 ▷경북도 차원에서 가능한 모든 규제 완화 검토 ▷핵심부품·소재·장비 국산화 등 일본 수출 규제 관련 예타 면제 사업 발굴과 예산 반영 ▷반도체 소재 기업 지원 ▷2차전지 소재 부품 국산화 클러스터 집중 추진 등을 집중 논의했다.

아울러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 있는 상위 10개 품목을 정해 집중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피해 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 경영안정 자금지원, 수입선 다변화 지원 등 현장 중심의 대응 방안 마련과 소재부품 국산화에 따른 국비 예산 확보도 추진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일본 수출규제라는 큰 파고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오늘부터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