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순석의 동물병원 24시] 우리 개가 눈을 못 뜨고 눈곱이 생긴다면? 건성각결막염

건성각결막염(DRY EYE)은 견디기 힘든 통증을 동반한다. (사진출처: www.petplace.com)
건성각결막염(DRY EYE)은 견디기 힘든 통증을 동반한다. (사진출처: www.petplace.com)

초롱이(17·몰티즈)가 한쪽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고 충혈되고 고름같은 눈곱이 생겨 내원했다.

초롱이의 눈물 분비량 검사(STT) 결과 좌측 눈은 분당 23mm이었으나 우측 눈은 분당 0mm였다. 초롱이는 오른쪽 눈에 눈물이 생성되지 못해 생기는 건성 각결막염(KCS)으로 진단받았다.

초롱이는 17세의 고령으로 간과 신장 기능이 나빠져 있었고, 눈꺼풀 전체가 피부염으로 헐어있었으며 눈물 자체가 생성되지 못하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었다.

다행히 내과적 치료와 면역을 억제시키는 안약 처방이 도움 되어 3주 후에는 오른쪽 눈의 눈물 분비량이 정상화(분당 17mm) 되면서 초롱이 눈은 건강해질 수 있었다.

건성각결막염(KCS)는 눈물분비량검사(STT)를 통해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사진출처 : www.corgidogs.org )
건성각결막염(KCS)는 눈물분비량검사(STT)를 통해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사진출처 : www.corgidogs.org )

반려견의 건성 각결막염은 사람이 경험하는 안구건조증과는 비교할 수 없는 고통이 따르며 심각한 경우 각막이 천공되거나 안구를 적출하여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반려견의 건성 각결막염은 대부분 면역매개성 질환으로 면역을 억제하는 안약 처방이 도움 된다. 하지만 눈물 분비량을 조절하는 신경이 이상 있거나, 부적절한 안약 사용으로 인해 눈물 분비선이 위축된 경우에는 평생 동안 안약을 처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반려견은 눈병이 발생하면 눈이 충혈되고 눈곱과 눈 깜박임이 잦아진다. 결막염, 각막염,각막궤양, 녹내장, 포도막염 등의 다양한 눈병들은 증상을 유사하지만 처방은 상이하다.

노령견의 경우 내과적인 질병이 있을 경우에도 눈병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간질환, 신장질환, 당뇨병, 종양질환, 면역 질환이 눈병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안약을 사용하다 보면 눈병이 만성화되거나 눈물 분비선의 위축을 초래하게 된다.

내원 당시의 초롱이의 오른쪽 눈(위)과 치료 후 건강해진 초롱이의 모습(아래) (사진출처 : 탑스동물메디컬센터)
내원 당시의 초롱이의 오른쪽 눈(위)과 치료 후 건강해진 초롱이의 모습(아래) (사진출처 : 탑스동물메디컬센터)

반려견의 눈 검진과 눈물 분비량 검사는 반려견이 간단히 받을 수 있는 검사다. 반려견이 눈 깜박임을 반복하고 눈곱이 심해진다면 건성 각결막염을 의심하고 수의사의 검진을 통해 감별 진단 후 적합한 처방을 받으실 것을 당부드린다.

박순석 탑스동물메디컬센터 진료원장
박순석 탑스동물메디컬센터 진료원장

박순석 탑스동물메디컬센터 진료원장

SBS TV동물농장 수의사로 잘 알려진 박순석 원장은 개와 고양이, 야생동물을 구조하고 치료한 30년간의 임상 경험을 토대로 올바른 동물 의학 정보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반려동물 문화를 제시하고자 '동물병원 24시'를 연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