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왕산 광장' 명칭 슬그머니 바꿔 논란 자초한 구미시

장세용 구미시장이 전임 시장 시절 주민공청회를 거쳐 결정한 '왕산 광장' 명칭을 바꿔 논란을 부르고 있다. 왕산은 독립운동가 허위 선생의 호로 구미 제4국가산단 물빛공원 내 들어서는 광장과 누각 이름이다. 비록 구미시는 이들 시설이 들어선 마을인 산동 주민들의 요구 때문이라는 이유를 들지만 아무래도 석연치 않다. 처음 이름을 정할 때처럼 주민공청회 등 납득할 만한 절차를 밟지 않아서다. 장 시장의 뜻에 따른 변경이 아니냐는 의심을 살 만하다.

한국수자원공사 구미사업단이 지난 2018년 3월 시작, 이달 말 완공 예정인 물빛공원은 56억원을 들인 공공시설물이다. 3만㎡ 넓이의 근린공원에는 다양한 시설과 공간이 마련되는 터여서 붙일 명칭은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시·군마다 크고 작은 시설 설치 때 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주민은 물론, 외부인의 발길을 끌 만한 시설 마련에 신경을 쓰지만 명칭에도 특별히 관심을 쏟는 현실이다. 갈수록 명칭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는 탓이다.

남유진 시장 재임 시 구미시가 '왕산'의 이름을 따 '왕산 광장'과 '왕산루'로 결정한 일은 이름의 상징성 때문이다. 왕산은 엄혹한 시절, 독립운동에 헌신해 구미를 벗어나 나라를 대표하는 독립운동가이다. 게다가 왕산 집안 역시 3대에 걸쳐 14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할 만큼 독립운동 명문가로 정평이 나 있다. 이미 서울시가 동대문구 신설동역오거리~시조사삼거리를 잇는 3.2㎞ 도로를 '왕산로'로 지정해 그의 독립운동 활동을 기리는 까닭도 그래서다.

특히 곧 선보일 물빛공원에는 왕산을 비롯한 13명의 집안 독립운동가 동상까지도 들어서 왕산의 이름에 걸맞은 공간이 되기에 모자람이 없다. 산동면 일부 주민이 '산동'의 지명을 아끼고 내세우는 마음도 이해할 수 있다. 그렇더라도 명칭 변경은 절차와 근거를 갖춰야 한다. 단순히 시장이 바뀌었다고 함부로 할 일은 아니다. 이제라도 명칭 변경을 철회하는 게 맞지만 그렇지 않으면 다시 정당한 절차와 의견 수렴을 거쳐 이름을 결정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