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전거 통행 막은 자전거 안내판?…주민들 "어이가 없네"

경북도청 신도시 호명초 진출입로 신호등 논란 이후 이번엔…

최근 경북도청 신도시 내 자전거 전용도로 곳곳에 길은 막아선 공영자전거 무인대여소 통신장비 및 이용 안내판이 설치돼 있었다. 윤영민 기자
최근 경북도청 신도시 내 자전거 전용도로 곳곳에 길은 막아선 공영자전거 무인대여소 통신장비 및 이용 안내판이 설치돼 있었다. 윤영민 기자

경북도청 신도시에 거주하는 A(32·예천군) 씨는 최근 구입한 새 자전거를 타고 나갔다가 황당한 일을 겪었다. 자전거 전용도로 한 가운데 세워진 고정식 간판이 길을 완전히 막고 있었기 때문이다.

A씨는 "도로를 완전히 막고 무엇인가를 세웠다는 발상 자체가 어이없다"며 "가시거리가 짧은 야간에는 사고 위험도 있고 자전거를 타다 부딪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27일 찾아간 도청 신도시 내 자전거 전용도로에는 이미 공영자전거 무인대여소 통신장비 및 이용 안내판이 철거돼 있었고 현재는 라바콘이 놓여져 있다. 윤영민 기자
27일 찾아간 도청 신도시 내 자전거 전용도로에는 이미 공영자전거 무인대여소 통신장비 및 이용 안내판이 철거돼 있었고 현재는 라바콘이 놓여져 있다. 윤영민 기자

27일 찾아간 도청 신도시 내 자전거 전용도로. 도로를 막고 있다는 간판은 볼 수 없었지만 간판이 있었던 흔적은 쉽게 찾을 수 있었다. 간판이 철거된 자리에는 라바콘이 세워져 있었고 라바콘 주변에는 간판과 연결돼 있던 전선들이 나와 있었다. 현재도 이곳은 장애물에 막혀 보수가 끝나지 않은 상태였다.

27일 예천군에 따르면 자전거 전용도로 한 가운데 설치된 고정식 간판은 신도시 내에서 운영하는 공영자전거 무인대여소 통신장비 및 이용 안내판이며, 지난 16일 총 5개소를 설치했다가 민원이 다수 발생하자, 20일 급하게 철거됐다.

지난 3월 촬영한 호명초교 정문. 학교 진출입로 가운데에 신호등이 설치돼 있다. 윤영민 기자
지난 3월 촬영한 호명초교 정문. 학교 진출입로 가운데에 신호등이 설치돼 있다. 윤영민 기자

앞서 3월에는 신도시 내 호명초등학교 차량 진출입로 가운데 신호등이 설치돼 논란을 빚었다.

당시 혈세낭비와 행정력에 대한 지적이 있었지만 비슷한 상황이 재발하면서 예천군의 탁상행정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신도시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예전에 신호등 논란을 두고 주민들끼리 '해외토픽'감이라며 우스갯소리를 했는데 또 어처구니없는 행정을 보였다"고 꼬집였다.

이에 대해 예천군 관계자는 "버스 정거장의 경우도 전용도로를 물고 설치돼 있다"라며 "무인대여소 통신장비 및 이용 안내판도 같은 루트로 설치된 것이지만 민원이 많이 발생해 바로 철거를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