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의 결심이었다."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이 14일 조 장관의 전격 사의와 관련, 기자들에게 언급한 내용이지만 이를 곧이 곧대로 믿을 사람은 없다. 방점은 '조 장관이 사의를 청와대에 언제 전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동안 계속 그런 고민은 있어왔다는 말씀만 드리겠다"는 데 찍혀 있다.
조 장관 사의를 놓고 누가 핵심적 역할을 했는지에 이목이 쏠린다. 청와대가 조 장관 사퇴에 대한 여론의 거센 압박 속에서 '닥치고 검찰개혁' 속도전에 나서자 조 장관 퇴진설이 꿈틀거린 게 사실이다. 관심은 당정청 어느 쪽에서 총대를 맸느냐다.
강 정무수석이 조 장관 사의 표명 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를 급히 찾은 점으로 볼 때 당 측이 별다른 역할을 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친문(친문재인)이 주도권을 잡고 있는 가운데 '조국 퇴진'은 당내에서 금기어나 다름없었다. 전날 열린 검찰개혁 당정청 회의에서도 조 장관 사퇴와 관련해선 전혀 논의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 이날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주례회동을 한 이낙연 국무총리의 역할에 주목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동안 민심을 가감없이 전하며 조 장관 퇴진 수순을 밟는 출구전략을 물밑에서 모색해왔던 만큼 모종의 역할을 했을 것이란 얘기다. 이 총리는 최근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만나 조 장관 거취를 논의하고 사퇴 쪽으로 깊이 있게 교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총리는 지난 7일엔 권노갑·정대철 전 의원 등 동교동계 원로 14명과 막걸리를 곁들인 만찬 회동을 하며 의견을 구했다. 이 자리에선 10명 가까이가 조국 사퇴 의견을 내놨고, 이 총리는 "알겠다"고 짤막하게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30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선 조 장관 해임건의 의사를 묻는 이헌승 자유한국당 의원 질의에 "훗날 저의 역할이 무엇이었던가는 자연스레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혀 조 장관 해임에 대한 여러 의견을 청와대에 전달하고 있다는 해석을 낳았다.
그러다가 문 대통령 지지율이 41.4%로 대선 득표율을 밑돈 여론조사가 나온 이날 청와대 회동 자리를 빌어 해임 건의권(헌법 제87조)을 고리로 조 장관 사퇴를 '직언'했고, 문 대통령의 '결심'을 끌어낸 게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총리실 관계자는 매일신문 기자와 통화에서 "두 분이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 정확한 내용을 알 수는 없지만 (이 총리가 조 장관 문제를) 충분히 말씀 드린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