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란, 핵합의로 금지한 시설서 우라늄농축 재개

포르도 시설 돌려 '핵합의 감축 4단계 조치'
IAEA 이사회 소집...프랑스, 영국 등 핵합의 파기 우려

이란 중북부 도시 콤 인근 산악지대의 지하에 있는 포르도 우라늄 농축 시설 내부 모습으로, 6일(현지시간) 이란 원자력청(AEOI)이 공개한 사진이다. 이란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이행 수준을 축소하는 4단계 조처로 핵합의에서는 금지된 장소였던 포르도 지하시설에서 우라늄 농축을 재개했다고 7일 발표했다. 연합뉴스
이란 중북부 도시 콤 인근 산악지대의 지하에 있는 포르도 우라늄 농축 시설 내부 모습으로, 6일(현지시간) 이란 원자력청(AEOI)이 공개한 사진이다. 이란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이행 수준을 축소하는 4단계 조처로 핵합의에서는 금지된 장소였던 포르도 지하시설에서 우라늄 농축을 재개했다고 7일 발표했다. 연합뉴스

이란 중북부 도시 콤 인근 산악지대 지하에 있는 포르도 우라늄 농축 시설 내부 모습으로 6일(현지시간) 이란 원자력청(AEOI)이 공개한 것. 이란 원자력청은 7일
이란 중북부 도시 콤 인근 산악지대 지하에 있는 포르도 우라늄 농축 시설 내부 모습으로 6일(현지시간) 이란 원자력청(AEOI)이 공개한 것. 이란 원자력청은 7일 "포르도 지하시설에서 우라늄 가스(육불화우라늄) 주입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연합뉴스

6일(현지시간) 이란 이스파한 주 나탄즈 핵발전소에서 우라늄 가스(육불화우라늄·UF6)를 실은 트럭 한 대가 중부 도시 포르도를 향해 떠나고 있다. 이란 원자력청(AEOI)은 7일
6일(현지시간) 이란 이스파한 주 나탄즈 핵발전소에서 우라늄 가스(육불화우라늄·UF6)를 실은 트럭 한 대가 중부 도시 포르도를 향해 떠나고 있다. 이란 원자력청(AEOI)은 7일 "포르도 지하시설에 우라늄 가스 주입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연합뉴스

이란 원자력청은 6일(현지시간)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전날 예고한 대로 포르도 농축시설의 원심분리기에 우라늄 기체(육불화우라늄)를 주입했다고 확인했다. 연합뉴스
이란 원자력청은 6일(현지시간)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전날 예고한 대로 포르도 농축시설의 원심분리기에 우라늄 기체(육불화우라늄)를 주입했다고 확인했다. 연합뉴스

이란이 핵합의 이행 수준을 축소하는 4단계 조처로 포르도 지하시설에서 우라늄 농축을 재개했다. 이란 원자력청(AEOI)은 7일(테헤란 현지시간), "모든 준비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중략) 포르도 시설에 우라늄 가스(육불화우라늄) 주입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고 현지 보수매체 타스님이 전했다.

우라늄 가스를 포르도 시설에 주입하는 전 과정은 IAEA 점검단의 감독 아래 이뤄졌다고 원자력청은 덧붙였다. 앞서 전날 원자력청의 베흐루즈 카말반디 대변인은 "나탄즈 농축시설에서 육불화우라늄 2천㎏을 포르도 시설로 옮겼다"라며 "6일 24시를 기해 원심분리기를 가동한다"라고 말했다.

육불화우라늄을 넣고 다단계(캐스케이드)로 구성한 원심분리기를 고속으로 회전하면 원자력 발전의 연료나 핵무기로 쓸 수 있는 원자량 235의 우라늄 농도가 점점 높아진다. 카말반디 대변인이 밝힌 농축 농도는 4.5%로 핵무기에 사용하려면 90%까지 농도를 높여야 한다.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에 따르면 이란이 농축할 수 있는 우라늄의 농도는 3.67%다. 이란은 이미 7월 4.5%까지 농도를 올렸다. 핵합의에 따르면 우라늄 농축 활동은 나탄즈에서만 할 수 있고 포르도에서는 금지된다.

이란이 계속해서 핵합의 이행 범위를 축소하자 IAEA가 이사회를 소집하기로 했다고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IAEA 관계자는 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이사회를 열고 이란의 핵합의 이행 축소에 대한 보고를 들을 것이라고 밝혔다.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의 탈퇴로 위상이 흔들린 이란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가 결국 깨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7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프랑스, 영국 등 유럽의 주요 의사결정국들은 궁극적으로 핵 합의 파기와 국제사회의 대(對)이란 제재로 이어질 수 있는 '분쟁 메커니즘'을 가동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