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남대·연세대 공동 연구팀, '미세먼지 유해성' 패스트트랙 평가법 개발

3주 안에 미세물질 인체 유해성 검증 가능…무기나노입자 에어로졸 형태로 제조 ‘플러그 인 시스템’ 개발

영남대 변정훈 기계공학부 교수, 김종오 약학부 교수, 연세대 황정호 기계공학부 교수(왼쪽부터). 영남대 제공
영남대 변정훈 기계공학부 교수, 김종오 약학부 교수, 연세대 황정호 기계공학부 교수(왼쪽부터). 영남대 제공

영남대와 연세대가 공동 연구를 통해 미세먼지와 가습기 살균제 등 초미세 물질의 유해성을 빠르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최근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가습기 살균제 사건 등 공기 중 미세먼지 형태로 존재하는 살생 물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번 연구 결과가 상당히 주목된다.

영남대 변정훈 교수(기계공학부)와 김종오 교수(약학부), 연세대 황정호 교수(기계공학부 ) 연구팀은 에어로졸 형태 항균 나노물질의 기능성, 인체 유해성을 3주 안에 검증하는 평가법을 고안해냈다. 이번 논문은 영남대 가우탐 미란(박사과정) 씨와 연세대 박대훈(박사과정) 씨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변정훈 교수는 "이번에 고안한 평가법으로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무기나노 항균 물질의 인체 유해성 평가가 가능해졌다. 항균 물질의 안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플러그를 꽂기만 하면 항균 능력이 있는 수백나노미터 이하의 무기나노입자를 미세먼지(에어로졸) 형태로 제조하는 '플러그 인 시스템'도 구현했다.

연구팀은 "항균 능력이 매우 우수한 금속인 구리를 인체 유해성이 낮다고 알려진 금속인 텔루륨에 부분적으로 도핑시키면 높은 항균성은 유지되고, 인체 유해성은 현저하게 낮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이 성질을 이용해 플러그를 꽂기만 하면 손쉽게 200나노미터 이하의 안전한 항균 나노물질을 에어로졸 형태로 제조하는 플랫폼을 구현하는 데에 성공했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