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포항지진 촉발 과실 여부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2일 지진피해 현장 조사

지진 촉발 '포항지열발전소', 지진 피해 '대성아파트' 등 피해 현장 둘러봐
지진 피해 단체 10여 명과 자리 가지기도
단체 "농어촌공사에 저수지 물 구입한 양 확인하면 물주입 양 확인할 수 있다" 주장

2일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 포항지열발전소에서 서울중앙지검 소속 검사와 수사관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과학기술범죄수사부는 2017년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에서 촉발된 인재인지 규명하기 위해 11월 5일 포항지열발전을 비롯해 사업 주관사 넥스지오 등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일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 포항지열발전소에서 서울중앙지검 소속 검사와 수사관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과학기술범죄수사부는 2017년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에서 촉발된 인재인지 규명하기 위해 11월 5일 포항지열발전을 비롯해 사업 주관사 넥스지오 등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포항지진을 촉발한 포항지열발전소의 부지 선정 당시 제대로 된 조사가 있었는지 등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과학기술범죄수사부가 2일 포항을 찾아 발전소 등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과학기술범죄수사부 소속 검사·수사관 등 6명은 이날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 포항지열발전소를 방문해 발전소를 둘러봤다.

이들은 지진 피해로 6개 동 가운데 4개 동이 사용 불가 판정을 받을 정도로 심각하게 파손된 흥해읍 마산리 대성아파트로 자리를 옮겨 지진 피해 건물을 직접 확인했다.

이들은 또 '포항 11·15 촉발지진 범시민대책위원회' 등 지진피해 관련 단체와 간담회 형식의 자리를 가지기도 했다.

2일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 포항지열발전소에서 서울중앙지검 소속 검사와 수사관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과학기술범죄수사부는 2017년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에서 촉발된 인재인지 규명하기 위해 11월 5일 포항지열발전을 비롯해 사업 주관사 넥스지오 등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일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 포항지열발전소에서 서울중앙지검 소속 검사와 수사관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과학기술범죄수사부는 2017년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에서 촉발된 인재인지 규명하기 위해 11월 5일 포항지열발전을 비롯해 사업 주관사 넥스지오 등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단체 관계자 10여 명은 ▷단층 조사만 제대로 했어도 포항지진을 막을 수 있었던 점 ▷촉발지진이라는 발표에도 책임자가 아무도 없는 점 등을 철저히 수사해 달라고 요구했다.

또 지열발전소가 에너지를 얻기 위해 땅에 주입한 물이 북구 신광면 한 저수지에서 나온 것이라고 주장하며, 농어촌공사로부터 구입한 물의 양을 확인해봐야 한다는 내용도 검찰에 전달했다.

과학기술범죄수사부는 앞서 지난달 대전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지층연구센터와 포항지열발전, 사업 주관사인 넥스지오 등 4곳을 압수수색해 이들의 과실을 증명할 자료를 상당 부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