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심 곳곳에서 재개발·재건축사업이 활발하게 벌어지는 가운데 '미니재건축'으로 불리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에서도 역외 건설사들이 시공권을 휩쓸고 있다.
대구 건설사들은 자금력을 앞세운 대형업체들의 홍보전에 밀려나는 상황이지만 마땅한 대응책이 없어 애만 태우는 상황이다.
중구 남산동 반월당 사랑마을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은 지난달 30일 열린 총회에서 코오롱글로벌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코오롱글로벌과 수주전을 벌였던 지역 업체 태왕이앤씨는 80억원 가량 낮은 가격의 공사비를 제안했지만 시공권을 따내는데 실패했다.
현장 설명회에 참석했던 한 관계자는 "공사비가 훨씬 저렴한데도 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규모, 분양 후 웃돈을 더 받을 수 있다는 논리에 밀렸다"고 아쉬워했다.
3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에서는 자율주택정비사업 1곳, 가로주택정비사업 11곳, 소규모재건축사업 16곳 등 모두 28곳에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특히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올해 들어서만 7곳이나 조합이 설립됐을 정도로 열기를 띠고 있다. 일반 재건축에 비해 사업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정비기반시설인 도로를 확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로주택정비사업 가운데 시공사를 선정한 6곳 중 대구 건설사가 수주에 성공한 사업지는 동인시영아파트가 유일하다.
대구 건설업계는 재건축·재개발사업에 이어 소규모주택정비사업에서도 밀려나는 상황에 대해 아쉬워하고 있다. 가로주택정비사업에는 지역업체 용적률 인센티브가 적용되지 않는데다 역외 건설사와 수주전에서도 열세에 처해 있어서다.
다만 지난 10월 관련법 개정으로 정비기반시설 설치 비율에 따라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조항이 신설돼 숨통이 트인 상황이다. 대구시는 내년 상반기 중에 관련 조례를 개정해 기반시설을 설치할 경우 지역업체에 용적률을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대구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조례 제정도 좋지만 정작 시공사를 정하는 조합원들이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를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조합원 부담금이 더 늘어도 브랜드 이미지로 웃돈을 더 붙일 수 있다는 대형건설사들의 홍보 논리를 깰 수 있도록 관련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