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민정비서관실 행정관에게 김기현 전 울산시장 관련 '비위 첩보'를 최초 제보한 인물이 송병기 현 울산시 경제부시장이었던 것으로 4일 드러나면서 '청와대 하명수사'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더욱이 청와대 해명과 반대로 송 부시장은 '청와대 요청으로 정리해 전달했다'고 주장하고 있어 '청부 수사' 의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청와대는 이날 김 전 시장 관련 첩보와 관련해 2017년 10월 민정비서관실에 파견된 A 행정관이 휴대전화 SNS를 통해 제보받아 문서로 정리했다고 밝혔다. 제보자는 A 행정관이 과거 캠핑장에서 만나 알게 된 공직자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이 공직자가 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으로 파악된 것이다.

송 부시장은 도시계획 및 물류시스템 전문가로 2008년 개방형 직위로 울산시에 들어와 교통건설국장(3급)을 지냈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울산발전연구원 공공투자센터장을 지냈다. 지난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송철호 당시 울산시장 후보 캠프에 들어갔다. 송 부시장은 '캠프 싱크탱크'로 불렸고, 인수위에선 총괄간사직도 맡았다.
송 부시장은 2017년 12월과 2018년 1월 김 시장 측근 비리를 수사 중이던 울산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수사팀이 참고인 조사를 한 인물이기도 하다.
첩보에 거론된 당사자인 박기성 자유한국당 울산시당 6·13지방선거 진상규명위원회 부단장(김 전 시장 비서실장)은 이달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 하명수사 논란과 관련한 송 부시장의 공모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하기도 했다.

박 부단장은 "2018년 3월 16일 소위 경찰이 시장 비서실 등을 압수수색할 당시 압수수색 영장에 '박기성 실장이 레미콘 업무와 관련해 담당자(공무원)를 질책했다'고 진술했다는 인물이 등장한다"며 "이 인물은 시청 전직 공무원이라고 영장에 적혀있었다"고 밝혔다.
이 전직 공무원이 송 부시장이라는 주장이다.
송 부시장은 제보자가 자신이라고 지목되자 일부 언론을 통해 "정부에서 여러 가지 동향들을 요구했기 때문에 그 동향들에 대해 파악해서 알려줬을 뿐이다"고 밝혔다.
또 "2017년 하반기나 연말쯤 청와대 행정관이 아닌 지역에 있는 여론을 수집하는 쪽에서 연락이 왔다"며 "언론에 나왔던 내용이라 알려줬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