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대 총장 선거, 재도약의 전기로 삼아야

경북대학교 총장 선거가 6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김상동 현 총장의 임기가 내년 10월까지인 것을 감안하면,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내년 5월이면 교수회가 총장 임용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6~8월 중에 선거일을 정하게 된다고 한다. 따라서 이르면 내년 6월에 총장 선거를 치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경북대 안팎에서는 벌써 하마평이 나돈다.

차기 총장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사람만 10명이 넘는다고 하니, 이미 물밑 경쟁에 들어간 셈이다. 이번 경북대 총장 선거에 학내외의 각별한 관심이 쏠리는 것은, 우선 8년 만의 직선제 선거인 데다 학생들의 투표 참여 확대 요구가 크기 때문이다. 경북대 총학생회는 "민주적인 총장 선거를 위해 학생 투표 반영 비율을 확대하라"고 요구한다.

이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는 교원, 직원, 학생 간 선거인별 득표 반영 비율 조정부터가 선결 과제로 부상했다. 규정상 선거일이 여름방학 기간이어서 선거일 조율도 논의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가 특히 중요한 것은 경북대가 그동안 누적된 학내 갈등과 도덕적 해이에서 벗어나 새롭게 출발하는 전기로 삼아야 하기 때문이다.

경북대는 지난 국정감사에서 일부 교수들이 논문 공저 등에 자녀의 이름을 올린 사실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에 대한 대학 당국의 부실하고 부적절한 답변과 대응도 질타의 대상이 되었다. 국회의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지원 자료 분석에서는 5건에 1억2천여만원 상당의 부정행위가 적발돼 환수 대상이 되었다. 현 총장이 임명되기 전에는 오랜 총장 공석 사태를 겪기도 했다.

지역 사회에서 경북대가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은 막중하다. 경북대는 대구경북 지역 최고의 거점대학이자 국립대학으로 70년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이어왔다. 이번 총장 선거 과정이야말로 경북대가 한동안의 궁색하고 초라한 모습에서 탈피해 새롭게 도약하며 과거의 위상을 되찾는 전기가 되어야 한다. 학교 구성원은 물론 졸업생과 시·도민들도 관심을 가지고 지혜를 모아야 하는 까닭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