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신청사 탈락, 중·북구·달성군 '카오스 상태, 충격"

어부지리(漁夫之利) & 부지 매입비용 0원, 달서구 전략 주효했나?

대구시 신청사 이전지로 최종 확정된 대구 두류정수장 사업소 전경. 매일신문DB
대구시 신청사 이전지로 최종 확정된 대구 두류정수장 사업소 전경. 매일신문DB

대구시청 신청사가 22일 달서구로 결정되면서, 중·북구와 달성군청은 그야말로 카오스(혼동) 상태에 빠졌다.

탈락으로 인한 충격파는 엇비슷하겠지만, 내부 속사정은 조금씩 다르다. 중구(구청장 류규하)는 처음부터 신청사 이전을 전제로 한 듯한 신청사 건립추진 공론화위원회의 방침에 반발해왔다. 중구는 첫 시작부터 결론까지 불만이 폭발지경에 이를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북구(구청장 배광식)는 대구시청 별관(구. 경북도청)으로 올 것을 기정사실화하고, 느긋한 편이었다. 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뒷통수를 맞은 듯, 가만히 서서 코를 베인 듯한 상황에 놓여있다. 배 구청장은 "옛 도청 자리에 시청이 와야, 대구가 중심이 잡힌다"며 "다른 곳으로 선정되는 것 자체가 대구의 미래를 어둡게 만드는 것"이라고 역설해 왔다.

달성군(군수 김문오) 역시 '대구의 중심, 화원'을 내세우며, 사활을 걸었다. 대대적인 홍보(신문·'방송, SNS, 현수막 등)와 함께, 군 예산까지 동원해 부지매입비 0원 공약까지 선포했다. 3선의 김 군수가 달성군을 위한 마지막 치적(화룡점정)이 물거품이 된 셈이다. 김 군수는 이번 결정에 어떤 대응(반발)을 할 지 고민 중이다.

반면, 신청사 유치에 성공한 달서구(구청장 이태훈)는 축제 분위기다. 이미 최종 결정 한달 전쯤, 어부지리(漁夫之利)로 달서구가 될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다. 중·북구는 시내 중심인데 비해 달성군은 너무 먼 점 그리고 옛 두류정수장 터 전체가 시유지이기 때문에 부지 매입비 0원이라는 점도 큰 잇점으로 작용했다.

한편, 대구시는 신청사 이전지 결정 후 3개 구·군의 반발(불복투쟁, 과정에서의 문제점 제기 등)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도 관심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