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체 재확인 비웃듯…유해조수 포획 수 또 허위신고

예천서 포상금 부정 지급 재발…郡 "일부 포수가 숫자 부풀린 듯, 경찰에 수사 의뢰 예정"

유해조수 사체 확인과 보관을 위해 예천군이 지보면에 마련한 냉동창고. 윤영민 기자
유해조수 사체 확인과 보관을 위해 예천군이 지보면에 마련한 냉동창고. 윤영민 기자

경북 예천군에서 유해조수 포획 활동을 하는 일부 포수가 조수 포획 수를 부풀려 포상금을 부당 지급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포획 허위신고를 방지하기 위해 예천군이 사체 재확인 절차 과정을 거치도록 시스템을 만들었지만 소용이 없었다.

예천군은 현장에서 포획한 유해조수의 사체 사진과 위치를 군으로 전송한 뒤 군이 지정한 냉동창고로 사체를 가져가 환경감시원의 감독 하에 사체 숫자를 확인·기록해 입고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는 유해조수 포획 포상금의 허위신고로 부정 지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타 시군의 모범사례가 되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냉동고에 입고된 유해조수 사체 수가 부풀졌다는 익명의 괴문서가 지역에 돌기 시작했다.

이 문서에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 25일까지 예천에서 활동한 포수들이 포획해 냉동보관 중이던 유해조수(멧돼지와 고라니)가 신고된 사체 수보다 적다는 제보를 받았고, 유해조수포획단이 냉동고를 확인한 결과 기재된 목록보다 멧돼지 20마리와 고라니 19마리가 부족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에 군이 문서 내용에 따라 사실관계 확인에 나섰고 지난 2일 확인 결과 익명의 문서 내용이 대부분 사실인 것으로 드러났다. 신고한 사체 수만큼 포상금 또한 과다 지급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예천군이 유해조수 포획 허위신고로 혈세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정된 냉동고에 사체를 확인, 입고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음에도 사체 수가 부풀져 포상금이 지급됐다는 것이다.

사체는 오전과 오후 두 차례 냉동고에 입고할 수 있으며, 지자체 소속 환경감시원이 사체를 직접 확인하도록 돼 있다.

이렇다 보니 해당 관리 담당자 등이 직무유기했거나 개입됐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군 담당자는 "환경감시원을 대상으로 물어보니 '이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으며 일부 포수에 의해 숫자가 부풀려진 것 같다'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예천에서 활동하는 포수는 50여 명으로, 이들이 잡은 유해조수가 지정된 냉동고로 모두 모이다 보니 현재로서는 누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허위신고를 했는지 파악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예천군은 조만간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예천군 관계자는 "유해조수 포획 허위신고를 방지하기 위해 냉동고 입고를 통한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했는데도 이 같은 일이 생겨 당황스럽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해 사건 관련자들을 색출하고 위법이 있을 경우 처벌할 예정"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