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美 도착…내일 한미일 안보 고위급 협의

북미대화·남북관계 진전방안 논의·美, 호르무즈 파병 요청 가능성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7일(현지시간) 한미일 3국 안보 고위급 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 8일 한미일 안보 고위급 협의에 나선다. 북미 대화와 남북관계의 진전 방안과 함께 최근 미국-이란 간 충돌 상황과 관련해 한국군의 호르무즈 해협 파병 가능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정 실장은 이날 오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했으며 8일 미일 카운터파트인 로버트 오브라이언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기타무라 시게루(北村滋)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한미일 안보 고위급 협의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오브라이언 보좌관과 별도 회동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방미는 북한의 '충격적 실제행동' 예고로 북미 간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어서 북한의 협상 테이블 복귀 등 대북 대응책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에서 제시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등 남북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별도의 협의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이번 방문은 또 미군의 공습으로 핵심 지휘관을 잃은 이란 혁명수비대가 닷새 만에 이라크 내 미군기지에 대한 대대적인 보복을 감행, 중동 정세가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혼돈으로 치닫는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어서 미국의 호르무즈 해협 한국군 파병 요청 등 군사 협력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파병을 둘러싼 정부의 딜레마도 깊어지고 있다.

앞서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7일 밤 방송된 KBS 인터뷰에서 "한국도 중동에서 많은 에너지 자원을 얻고 있다. 한국이 그곳에 병력을 보내길 희망한다"며 한국군의 호르무즈 해협 파병 희망 의사를 밝혔다.

한국 입장에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위한 미국의 협조를 끌어내기 위해서라도 미국의 요구를 외면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일본이 이미 자국 선박 안전확보를 위해 해상자위대 호위함 1척과 P3C 초계기를 중동 해역에 파견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미국의 압박은 한국에 집중될 가능성이 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7일 한미일 3국간 안보 고위급 협의를 위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7일 한미일 3국간 안보 고위급 협의를 위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호르무즈 해협은 걸프 지역의 주요 원유 수송 루트로, 사실상 이란군이 통제하고 있다.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의 하나로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이유다. 한국이 수입하는 원유의 70% 이상도 이곳을 통해 공급된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