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품 수거된 간장을 재유통했다'는 내부자 고발이 불거진 대구의 한 유명 식품 제조업체에 대해 경찰 수사가 불가피해졌다. 대구 경찰은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이물질이 검출돼 반품된 제품을 폐기하지 않고 재가공해 되팔았다"는 해당업체 직원의 주장과 언론 보도가 사실인지 가리기 위해 곧 진상 규명에 나설 방침이다. 이번 사건은 식품 안전에 대한 시민 우려가 크고, 지역 식품 제조업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걸린 중대한 사안인 만큼 신속하고 명확한 사실 확인이 요구된다.
발단은 해당 식품업체의 직원이 2016년 12월쯤 촬영한 반품 제품 처리과정을 담은 영상을 지난달 언론에 공개하면서다. 제보자와 해당 업체 노조는 이를 외부에 알리면서 "재활용 과정에 직접 참여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해당 업체는 "반품된 장류는 전량 폐기 처리하는데 수거통에 간장을 붓는 영상"이라며 제보자가 착각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현재로서는 누구의 말이 맞는지 판단하기 힘들다. 하지만 사회적 파장 등 사안이 중대한 만큼 경찰이 전력을 쏟아 시시비비를 신속하고 명확히 가려낼 일이다.
제보자 주장대로 폐기 제품을 재유통해 소비자를 속여온 것이라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먹거리 안전을 위협한 악덕업체 사례가 적지 않은 데다 인체 건강에 해가 되는 비위생 식품에 대한 국민 불신이 좀체 수그러들지 않는 상황이다. 이런 때에 지역 유수의 식품업체가 의심을 받는다는 것은 소비자 입장에서 그냥 넘길 문제가 아니다. 업체 입장에서도 회사 명운이 걸린 일이어서 사실 확인이 급선무다.
언론 보도 직후 식약처와 구청이 현장을 점검했지만 규정 위반 등 위법 사실을 확인하지는 못했다. 경찰은 이런 점을 감안해 영상물의 진위 확인 등 증거 수집에 조금의 허점이 없어야 한다. 2004년 '쓰레기 무 만두소' 허위 제보로 야기된 만두 파동이나 누룩곰팡이로 확인된 '구더기 된장' 사태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소비자도 수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성급한 판단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