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9일 마리스 페인 호주 외교부 장관,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부 장관과 연락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강 장관과 페인 호주 외교부 장관이 양국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고자 각자 취한 조치와 현 상황 정보를 공유하고, 두 나라가 감염병 사태 대응에 성과를 거둔 점을 평가했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두 장관은 이번 사태 교훈을 새겨 앞으로 비슷한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아울러 감염병 취약국에 대한 지원과 역내 방역협력 필요성을 논의했다.
내년으로 한국·호주 간 수교 60주년을 맞는 만큼 양자 및 믹타(MIKTA) 등 다자 차원에서의 협력 강화를 다각도로 찾자고 협의했다. 믹타는 2013년 멕시코,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터키, 오스트레일리아가 참여해 만든 국가협의체다.
강 장관은 6·25 발발 70주년을 맞아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부 장관과도 화상회의를 했다. 이를 통해 인도 참전 군인과 가족에게 한국 정부가 마스크를 지원해 감사의 뜻을 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러면서 강 장관은 한국 국민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시급하게 인도에 방문해야 할 때 예외적으로 입국을 허용해 달라고 정부 차원 협조와 지원을 당부했다.
이에 자이샨카르 장관은 "방역 원칙을 존중하면서도 필수적 경제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긴밀히 소통·협의하자"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조세영 외교부 1차관은 이날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 메르코수르(MERCOSUR) 회원국 주재 공관장들과 화상회의를 해 코로나19 대응 현황 등을 점검했다.
조 차관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공관들의 재외국민 보호에 힘쓴 점을 높이 평가하고, 메르코수르 회원국들과 방역·보건 등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또 코로나19 여파로 남미 경제 침체가 우려되는 만큼 동포 및 현지 진출 기업 지원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대면 산업 등 분야에서 주재국과 협력을 발굴해 새로운 경제 활성화 동력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