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죽이는 617'이라는 키워드가 2일 오후 9시 37분 기준 네이버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즉 '실검' 상위권 순위에 떠 화제다.
이는 지난 6월 30일 '617소급 위헌'을 시작으로 1일 '김현미장관 거짓말' 및 2일 낮 '617헌법13조2항'이라는 검색어에 이은 '총공' 키워드로 풀이된다. 총공이란 온라인상에서 다수 네티즌이 일시에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을 가리킨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반발하는 네티즌들이 지난 30일부터 연일 포털 검색어를 반복해 입력하는 모습이다. 이들은 온라인 카페 등 커뮤니티를 통해 이같은 단체행동에 나서고 있다.
특히 2일 저녁의 경우 앞서 오후 4시에 문재인 대통령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난 후 지시를 내려 시선을 끌었다. 두 사람이 만나 지난달 나온 6·17 부동산 대책에 대한 점검이 이뤄지고 관련 방침이 나올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은 투기성 주택 등 다주택 보유자의 부담을 강화할 것,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물량 등 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할 것, 30대를 중심으로 청년과 신혼부부 등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의 세금 부담을 완화할 것 등의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이후 곧장 '서민 죽이는 617'이라는 키워드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입력되는 등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만은 수그러들지 않는 모습이다.
아울러 이날 청와대에서는 다주택자 참모들이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비서관급 이상 참모 중 다주택자들에게 7월 중 1개 주택을 제외한 나머지 주택은 처분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는데, 이는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해 12월 똑같은 지시를 했음에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 것이라 시선이 향했다.
노영민 비서실장마저 현재 다주택자에 포함돼 있어 눈길이 쏠렸고, 노 비서실장을 비롯해 김조원 민정수석, 김거성 시민사회수석, 김외숙 인사수석, 황덕순 일자리 수석 등 12명이 해당됐다.
이날 청와대는 내부 참모들에겐 물론 외부 국민들에게도 다주택자에 대한 부담 부여 방침을 표명한 셈인데, '내로남불'이라는 단어가 국민들 사이에 공유되는 모습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