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전면전 수준의 '부동산 정책 대전(大戰)'에 돌입했지만 이를 바라보는 정치권 주변의 시각은 냉소적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종합부동산세 대폭 인상하는 방안 등 초강력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데 대해선 "22번째 대책이라고 별수 있겠느냐. 다가구 공직자의 집 판다고 해결되나, 쇼일 뿐"이라는 비판이다.
미래통합당의 파상공세를 놓고는 "뚜렷한 대안을 내놓지 못한 채 목소리만 높인다고 방법이 나오겠느냐. 지난 두 차례 집권 중에도 못 했던 일"이라는 비아냥이 쏟아진다.
연일 부동산 대책을 비판해온 조기숙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9일에도 쓴소리를 이어갔다. 참여정부 청와대 홍보수석을 지낸 그는 정부가 생애 첫 주택으로 6억원 이하 아파트를 사는 청년·신혼부부에게 취득세를 감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도대체 이 정부에서 누가 이런 발상을 하는 것이냐"라고 날을 세웠다.
조 교수는 "자려고 누웠다 기사 보고 열 받아 일어나 다시 부동산 글을 쓴다"며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를 다시 직격했다.
민주당 당권주자인 이낙연 의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부동산 정책은) 결과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고 했고, 김부겸 전 의원은 출마를 선언한 자리에서 "부동산 불패 신화를 깨겠다"고 언급, 정책 난맥상을 자인했다.
정부의 부동산 실정 때리기에 집중하는 통합당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도 적지 않다. 통합당은 지난 총선 공약에서 규제 완화와 세 부담 경감 등 총론을 제시했지만 이를 구체화하지 않고 있는 탓이다. 지난 7일 열린 '긴급 부동산 간담회'도 '내 집 마련의 꿈 사라졌다'는 구호만 요란했을 뿐 해법 제시에는 소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집값이라는 게 잘 내려가지 않아 가격이 오르지 않도록 진정시키는 게 목표가 될 수 있다"고 언급, 서민들의 인식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집값 문제에 관해서는 통합당도 입을 열기가 민망한 처지"라며 "지난번 두 번이나 집권하면서 묘수를 내놓지 못한 만큼 조속히 대안을 제시하는 게 급선무"라고 말했다.
여야 의원들의 다가구 보유를 비판해온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이날 정의당과 부동산 정책 간담회를 하고 투기 근절 대안 등을 제시했다. ▷공직자 재산공개 실거래가격 신고 의무화 및 대상 확대 ▷축소된 공시지가 2배 인상 ▷불공정한 분양제도 개선 등이 핵심이다.
이를 놓고 정치권에서는 민주당, 통합당에 대한 불신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자성의 말들이 나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