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가 서울~부산을 잇는 중앙선(청량리~부전역) 철도의 중장기 노선별 열차 운행 계획과 관련, 차별적 열차 운행 방침을 세워 논란이다. 철도공사는 2022년부터 일반 고속열차를 청량리~충북 제천만 하루 20회 투입기로 했다. 청량리~경북 영주는 1만5천원 운임 일반 열차를 2023년부터 일일 4회로 크게 줄이고, 대신 2021년부터 운임 2만3천원 하는 열차를 일일 26회 투입기로 했으니 경북 홀대론과 함께 주민 반발을 살 만하게 됐다.
중앙선은 말하자면 경부선과 함께 서울~부산을 잇는, 우리 국토를 세로로 관통하는 종관(縱貫) 철도이다. 특히 중앙선은 산업화 시절, 석탄과 임산물 등을 수송하면서 경부선에 이어 제2의 철도 동맥과도 같은 역할을 했다. 그러나 시대 흐름과 함께 옛 기능이 줄어들면서 승객 감소와 수송량 변화로 옛날의 모습을 잃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영주 등을 비롯한 경북 북부 지역 주민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철도공사는 지난 2000년대 경영 개선 명목으로 중앙선 청량리~부전역 운행 열차를 값싼 서민용 통일호는 없애고 더 비싼 무궁화호를 달리게 한 것처럼 이번에도 같은 방식을 도입한 셈이다. 영주까지 1만5천원이면 타던 일반 고속열차를 제천까지만 운행하고, 대신 무려 8천원(53%)이나 비싼 2만3천원 운임의 열차를 타거나 대폭 감축된 1만5천원 열차를 타는 기다림의 고통을 강요한 것과 같다. 경북 지역 홀대론과 함께 주민 반발은 마땅하다.
철도공사 입장도 이해되지만 국토의 균형발전과 철도의 공공성을 고려하면 경북 북부 지역민의 불편과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또 이번 결정이 과연 타당한 근거로 이뤄진 것인지도 의문스럽다. 특히 경북 북부 지역은 안동과 예천을 중심으로 경북도청 신도시 기반이 조성되는 등 과거와는 다른 환경이다. 따라서 국토의 내륙에 고립된 경북 북부 지역 주민들의 불편 해소와 농촌 지역 교통 복지라는 측면에서라도 이번 계획은 반드시 재고돼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