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금품 의혹·갈등 지방의회 의장단 선출, 부끄럽지 아니한가

올 7월부터 2년 동안 지방의회를 이끌 대구경북 시·군·구 지방의회 의장단 선거를 둘러싼 잡음과 갈등 속에 경산시의회는 금품수수 의혹까지 겹쳐 경찰 수사를 받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대구 동구의회에서도 금품 제공 의혹이 제기됐고, 경북의 일부 의회에서는 같은 당 소속 의원끼리 의장단 자리를 두고 갈등과 불협화음을 빚는 등 하반기 출범부터 꼴불견의 추태를 드러내 모양새를 구겼다. 주민들의 비판과 비난은 자연스럽다.

지난 1991년 부활된 지방의회가 올해로 30년이 됐지만 주민 대표로 내세우기에 여전히 부끄럽지 않을 수 없다. 처음 무보수 명예직으로 출발한 뒤 연간 수천만원의 의정활동비 지원에다 해마다 해외 연수 등 국내외 견학 기회 보장 등 물질적 대우와 겉으로의 위상은 처음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높아졌다. 그렇지만 주민을 대표하는 의원으로서의 품격이나 의정 활동은 숱한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의회 수장인 의장을 뽑는 선거 잡음과 갈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경산시의회나 대구 동구의회 경우처럼 일부에서는 아직도 돈으로 표를 사려는 낡은 옛날 선거 문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금품을 뿌리고 나면 소위 '본전' 생각에 따른 그 폐해는 고스란히 주민들 피해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그런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수사, 책임자 처벌은 어떤 일이 있어도 이뤄져야 한다. 이는 뒷날을 경계하기 위해서라도 마땅하다.

경북 안동·영주시의회에서 빚어진 의장단 선거 갈등과 잡음도 주민에 대한 예의나 도리가 아니다. 의회 다수당 소속 의원끼리 의장이 누리는 연간 3천만원쯤의 업무추진비와 관용 차량 및 수행원 제공 등 잿밥에 눈이 멀어 감투 싸움이니 앞날은 뻔하다. 다수의 힘을 주민과 의회, 지자체를 위해 써도 모자랄 터인데도 자리 욕심에 헛되이 소모하니 의회와 지자체의 경쟁력 확보와 강화 같은 본연의 일은 뒷전일 수밖에 없다. 이제라도 정신 차려 날로 급변하는 밖으로 눈을 돌려 의정 활동에 전념하기를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