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권언 유착’ 냄새 풍기는 KBS의 ‘검언 유착’ 오보

KBS 18일 뉴스 화면. KBS 방송화면 캡처
KBS 18일 뉴스 화면. KBS 방송화면 캡처

KBS가 이른바 '검언 유착' 사건 관련 채널A 이동재 전 기자가 구속된 다음 날 "이 전 기자와 한동훈 검사장이 4월 총선을 앞두고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신라젠 주가 조작 연루 의혹을 제기하자고 공모한 정황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가 하루 만에 사실상 오보를 인정하며 사과했다. 이 전 기자 측이 한 검사장과 이 전 기자의 대화 녹취록 중 '신라젠' 관련 부분을 모두 공개하면서 오보로 판명 난 것이다.

KBS의 사과로 그칠 일이 아니다. 오보를 낸 결정 과정 전체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전 기자가 구속된 바로 다음 날 보도를 한 타이밍부터 그렇다. '검언 유착'을 기정사실화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것이다. 보도 수위도 그렇다. KBS는 '확인됐다'고 했다. 웬만큼 확실한 정보가 아니면 언론은 이런 단정적 표현을 쓰지 않는다. 그 정보나 제보를 어떤 경로로 입수했는지 명확히 규명돼야 한다.

이런 문제와 관련해 KBS 공영노조는 "누군가 던져 주면 옳거니 하고 다 카더라 식으로 받아 쓰는 게 KBS 보도본부의 취재 행태인가?"라고 자사를 비판했다. KBS를 고소한 한동훈 검사장 측도 "KBS가 악의적인 허위 사실을 유포하도록 한 취재원이 누구인지 밝힐 때까지 고소를 취하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KBS 보도 당시 해당 녹취록은 서울중앙지검 수사팀과 이 전 기자 측만 가지고 있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한발 더 나아갔다. 그는 "이번엔 (KBS와) 서울중앙지검과의 연결에 주목해야 한다. 일각에선 (서울중앙지검으로부터) 정치권으로 넘어간 게 KBS로 흘러 들어간 게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며 오보의 '소스'로 '검언 유착'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을 지목했다. 검찰 일각에서는 녹취록 내용이 여권으로 흘러 들어간 뒤 왜곡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검언 유착' 사건은 현 정권이 억지로 '사건화'한 것이라는 의심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이 와중에 터진 KBS의 오보는 사건의 실체는 '검언 유착'이 아니라 '권언(권력-언론) 유착'이라는 의심으로 비화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