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속보)'환경미화원 故 김재동 사망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을 위한 대책위' 기자회견

대책위 회원들이 기자회견에 앞서 고인의 명목을 빌며 묵념 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대책위 회원들이 기자회견에 앞서 고인의 명목을 빌며 묵념 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경북 봉화군 환경서비스업체에서 15년간 일하다 퇴사한 뒤 5일만에 뇌출혈로 숨진 환경미화원 고(故) 김재동 씨 사건(매일신문 13일 자 9면, 16일 자 10면, 17일 자 8면 보도)과 관련, '환경미화원 고 김재동 사망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21일 봉화군청에서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대책위는 "고인은 지난 2018년 열악한 노동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직원들과 노동조합에 가입했다. 그러나 고인이 몸담고 있던 봉화의 한 환경서비스업체 대표의 아들(이사)이 온갖 회유와 협박으로 고인을 제외한 모든 환경미화원이 민주노총을 탈퇴해 어용노조를 결성하면서 어용노조는 기존 확보된 조합활동을 모두 회사에 반납하고 차등성과급을 도입, 서로를 평가하면서 고인의 임금만 삭감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또 승차원이었던 고인의 조합 활동을 직원 모두가 싫어한다며 업무에서 배제하고 마당정리업무와 혼자 리어카를 끌며 가로청소를 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또 "점심식사나 회식 등 모임도 자기들끼리만 하고 심지어 사무실 출입도 못하게 했다. 이 회사 이사의 온갖 모욕적이고 폭력적인 언사는 나로 더해갔고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고 시간대별로 업무보고도 하는 악질적인 노동탄압이 지속돼 직장내 갑질과 직장내 괴롭힘은 물론 인격모독과 인권유린이 반복됐다"며 "고인의 죽음은 사측의 모욕적이고 비인격적 대우, 업무과중에 따른 산업재해이자 노통탄압에서 비롯됐다"고 강조했다.

노동단체와 유가족으로 구성된 대책위는 ▷진상 규명을 통한 고인의 명예 회복 ▷산업재해 인정 등 보상 ▷가해자 및 책임자 민형사 처벌 ▷봉화군청의 책임있는 행정과 청소대행업체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부당 노동행위 사업장에 대한 계약 해지 및 입찰 제한 등을 촉구했다.

대책위 회원들이 기자회견에 앞서 고인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대책위 회원들이 기자회견에 앞서 고인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한편 이날 대책위는 노동자 사망사건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을 요구하는 면담을 요청했으나 엄태항봉화군수가 다른 행사로 자리를 비워 환경보호과장이 대신 면담했다.

대책위 관계자들이 봉화군 녹색환경과 직원들과 면담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대책위 관계자들이 봉화군 녹색환경과 직원들과 면담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환경미화원 故김재동 사망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을 위한 대책위는 민주노총 북부지부, 공공운수노조 경북지역지부, 금강환경분회, 영원환경분회, 전교조 봉화지회, 전국건설노조 건설기계지부 봉화지회, 봉화군공무직 노동조합, 봉화군 농민회, (사)푸른환경보존협회 봉화지부, 경북노동인권센터, 故김재동 유가족과 유가족지원 개인 다수 등으로 구성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