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호흡' 주목되는 전재문·강명 "이미 손발 맞춰 본 형·동생 사이"

강명 "고향 다시 온 기분", 전재문 "여의도 '짬밥' 동지들 많다"

대구시 전재문 대외협력특보(왼쪽)와 강명 정무특보는
대구시 전재문 대외협력특보(왼쪽)와 강명 정무특보는 '사진을 찍자'는 주문에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어깨동무를 했다. 박상전 기자

권영진 대구시장과 홍의락 경제부시장 '키드'로 불리는 강명 정무특보, 전재문 대외협력특보가 앞으로 어떻게 호흡을 맞춰 나갈지 주목된다. 시장·부시장 간 협치만큼 2급 상당인 두 인사의 호흡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당적을 뒤로한 채 대구시 행정의 실무 총책을 맡고 있는 두 사람은 21일 "대구시민을 위한 '봉사행정'이라는 공동 목표가 있는 만큼 손발을 맞추는 데 문제 없다"고 한 목소리로 말했다.

전 특보와 강 특보는 오래전부터 친분이 있다. 강 특보가 서울본부장으로 재직 시절에는 홍의락 의원 보좌관이던 전 특보가 출·퇴근을 같이하다시피 하면서 수년간 예산 작업을 공동 진행했다.

강 특보는 "여의도에서 재문이 형님이 도와주지 않았다면 적지 않은 어려움에 봉착했을 것"이라고 했고, 전 특보는 "나름대로 열심히 했으나 항상 더 많이 못 도와줘서 미안했다"고 화답했다.

이달 초 정식 임명을 받은 뒤 같은 건물에서 근무하게 된 두 사람은 공동의 목표를 위해 손을 잡겠다고 다짐했다. 강 특보는 "통합신공항 등 대구의 굵직한 현안들이 산적하다. 논리 개발은 물론 정무적으로 풀어야 할 사안에 전 특보님과 상의하면서 진력을 다해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 특보는 "워낙 정무감각이 좋으니 강 특보가 잘할 것"이라며 "저는 본연의 업무로 돌아가 정부 지원 사업의 성공에 무게 중심을 두겠다"고 했다.

전 특보가 언급한 정부 지원 사업의 대표적인 예로는 올 초 지정된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가 있다. 그는 "현재 정부 계산에 따르면 이번 특구 지정에 따른 파급 효과는 수천억원 규모로 결코 크다고 볼 수 없다. 하지만 사업 규모를 키우고 대구시가 담아낼 그릇을 키운다면 예상보다 훨씬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 특보도 "그러기 위해 사회적 담론을 이루는데 일조하겠다"며 맞장구쳤다.

두 사람은 또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취수원 이전 ▷제2공공기관 유치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분원 유치 ▷대구 소년원 이전 ▷2021년 세계 가스 총회 성공적 개최 등 세부 현안을 구체적으로 꼽아가며 각자의 업무를 분담해 성공적 추진을 약속했다.

'정무직 출신이어서 시청 조직에 잘 녹아들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두 사람은 "전혀 문제없다"고 입을 모았다. 강 특보는 "시장님을 모시고 대구 생활 시작을 시청에서 한 만큼 고향에 돌아온 기분"이라고 했고, 전 특보는 "예산 시즌마다 만나 국회 구내식당에서 짬밥을 같이했던 낯익은 시청 공무원들이 꽤 된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