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4개 지자체,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사업 선정

대구 달서구·달성군, 경북 영덕군·청도군 등 전국 29곳 선정
범죄 검거·화재 대응, 재난 및 사회적 약자 지원 등 효과 기대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 개념도. 지자체와 경찰, 소방, 관련기관 정보를 연계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국토교통부 제공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 개념도. 지자체와 경찰, 소방, 관련기관 정보를 연계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국토교통부 제공

대구경북 4개 기초자치단체가 정부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지원을 받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21일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 구축사업을 공모해 전국 기초자치단체 29곳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역에서는 대구 달서구와 달성군, 경북 영덕군과 청도군이 포함됐다.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 구축사업은 지자체가 갖고 있는 정보망과 방범·교통·재난망을 정부 정보망과 연계해 도시 안전망을 구축하고 지능형 도시 운영기반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국토부는 선정 지자체들이 빨리 사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지자체 당 국비 6억원을 조기 교부하는 한편 스마트도시협회, 전국 지자체 협의회와 협력해 정책 자문과 기술 컨설팅을 지원하기로 했다.

2015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해마다 10곳 정도씩 선정됐지만 올해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 회복을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 사업에 포함되면서 올해 29곳이나 선정하게 됐다. 국토부는 현재 66곳인 지자체를 연말까지 108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는 기존 2022년 목표를 2년 앞당긴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특히 국민 안전 정책효과가 큰 사업"이라며 "앞으로 보급이 확대되면 도시문제 해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선정된 지자체들은 이번 사업을 통해 범죄 검거율과 화재 대응 효율성, 재난 및 사회적 약자 지원 등 민원 서비스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앞서 2018년 해당 사업 지원을 받은 대전의 경우 112 연계 범죄 검거율이 당해 79.9%로 전년 대비 11.6%포인트(p) 증가했고, 119의 7분 내 현장 도착율도 63.1%에서 78.5%로 늘었다.

달서구 관계자는 "달서구는 대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아 각종 사건사고도 많은 편이다. 사건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이 절실했다"며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