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20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KBS 수신료 인상이 필요하다고 했다. "광고를 비롯해 몇 가지 규제 완화만으로는 지상파의 어려움을 해소하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수신료 인상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그런 질문을 하는 의원이나 말 떨어지기 무섭게 넙죽 받는 후보자나 염치를 모른다고 할 수밖에 없다. KBS가 채널A 전 기자와 한동훈 검사장이 공모한 정황이 확인됐다는 오보에 대해 사과한 바로 다음 날 '짜고 치는 고스톱' 같은 이런 질문과 답변을 했으니 그렇다.
수신료 인상의 부당성은 이런 타이밍상의 문제로 그치지 않는다. 공영방송이 아니라 문재인 정권의 '관영방송'이란 소리를 듣는 친여 매체에 왜 국민이 돈을 보태 줘야 하느냐는 것이다.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공정성과 균형감을 상실했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오보 소동'은 그 필연적 결과라고 할 수밖에 없다. 2018년에는 시사 프로그램 '오늘밤 김제동'에서 북한 김정은을 맹목적으로 찬양하는 인터뷰 내용을 여과 없이 내보내기도 했다. 이런 예는 수도 없다.
오보 사과 직후 KBS 공영노조는 "정권의 프로파간다 스피커" 즉 '정권의 나팔수'라고 자사를 비판했다. 직원 게시판에도 정권을 위해 물불 안 가리고 나대는 행위는 충격적 등의 비판이 나왔다. KBS의 편파성에 넌더리가 난 국민의 심경을 콕 짚었다.
KBS는 경영난이 매우 심각하다고 한다. 가장 큰 원인으로 높은 인건비가 꼽힌다. 직원 중 1억원 이상 연봉자가 2018년 기준 51.9%에 달한다. 이런 '신의 직장'에 그것도 '문 정권의 관영방송'에 돈을 더 보태 주고 싶은 국민은 없다.
KBS와 여권은 국민에게 수신료를 더 달라고 하기에 앞서 KBS가 공영방송의 본령으로 되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공정성과 균형감을 회복하는 것이 수신료 인상의 선행 조건이라는 것이다. 이런 일은 제쳐 놓고 수신료만 더 달라고 한다. 참으로 부끄러움을 모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