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시철도와 시내버스의 환승률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28일 대구도시철도공사의 수송통계를 분석한 결과 대구도시철도와 시내버스의 환승률이 2011년 11.0%에서 올해 상반기 7.9%로 3.1%포인트(p) 낮아졌다. 올해 기준으로 전체 도시철도 역사 91곳 중 62.6%인 57곳이 평균을 밑돌았다. 환승률은 도시철도의 전체 승·하차 인원 중 버스를 오갔던 환승 비율을 말한다.
환승률의 하락은 2015년 도시철도 중심의 버스 노선개편 이후 더욱 두드러졌다. 장대 노선을 축소하고 간선을 지선으로 전환하는 등 도시철도 중심의 버스노선 개편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전년 대비 하락 폭이 2015년에 1.0%p로 가장 컸고, 이듬해도 0.6%p로 연평균 감소율( 0.3%p)을 웃돌았다. 급행과 간선, 지선 등 버스 기능을 세부화해 운행거리를 단축하는 등 노선 변화가 환승 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공동주택 개발도 버스 환승 수요를 낮추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2015~2020년 사이 3호선 역사 중 환승률 하락 폭이 가장 큰 팔달시장역(-4.1%p)과 남산역(-3.7%p)의 경우 공동주택 개발의 여파가 컸다.
두 역 모두 도시철도 이용객이 늘어난 가운데 버스 환승객은 감소했다. 팔달시장역 주변에는 2017년 8월에 1천580가구 규모의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고, 이로 인해 그해 7.6%였던 환승률이 이듬해인 6.3%로 줄었다.
남운환 대구버스운송사업조합 전무는 "지난 2015년 노선 개편 때 도시철도 중심으로 대중교통이 재편되면서 버스와 도시철도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있다"며 "버스 대수가 한정된 상황에서 노선 변경이 부분적으로 이뤄져 배차간격도 길어졌고, 도시철도 역사와 버스 승강장 간의 접근성도 낮아 환승률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거 같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