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디지털 뉴딜을 왜 경북이랑? "文 경제투어 후속 조치"

2018년 11월 8일 경북 포항 포스텍 4세대 방사광 가속기 연구소에서 고인수 포항가속기 연구소장으로부터 가속기 터널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맨 왼쪽). 연합뉴스
2018년 11월 8일 경북 포항 포스텍 4세대 방사광 가속기 연구소에서 고인수 포항가속기 연구소장으로부터 가속기 터널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맨 왼쪽). 연합뉴스

24일 경상북도는 약 2년 전인 2018년 11월 9일 이뤄진 문재인 대통령의 경북 경제투어와 관련, 그 후속 조치를 정부·청와대와 점검했다.

이날 이철우 경상북도지사와 장세용 구미시장, 박수경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등이 경북 구미 전자정보기술원에서 간담회를 개최했다.

특히 이 간담회에는 지역 산·학·연 인사들도 참석했는데, 이상철 금오공대 총장, 전창록 경북 경제진흥원장, 박효덕 구미전자정보기술원장, 백승균 ㈜구일엔지니어링 대표, 고재호 성산ENG㈜ 대표, 이선호 ㈜힉스컴퍼니 대표, 최치원 ㈜피앤씨솔루션 대표 등이 자리했다.

2년 전 문재인 대통령 방문 당시 경상북도는 포스트(Post) 철강·전자산업 육성 전략을 공개했다.

이어 올해 8월 철강산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올해 7월 구미에 대한 강소연구개발 특구 지정, 2019년부터 진행 중인 5세대(5G) 이동통신 융합산업밸리 조성(5G 단말기 테스트베드 구축 등) 등 다양한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지난 9월 7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형 뉴딜 3+1 종합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현재까지 도출된 성과들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 역량을 활용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디지털 뉴딜의 목표와 맞닿아 있다고 판단, 구미시 스마트산업단지 고도화·홀로그램 기술개발·디지털 기반 자동차 전장시스템 구축 등 필요한 지원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 때문에 가속화된 전 세계적 변화의 시기에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뉴딜이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한다"며 "이를 위해 중앙과 지방 간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