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을 앞둔 '진보정당 1세대'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최근 들어 주요 사안마다 정부여당의 태도를 비판하며 쓴소리를 뱉고 있다. 지난해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 국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신설법안과 공직선거법 개정안 처리 때 '더불어민주당 2중대'라는 오명을 뒤집어 쓴 데서 벗어나 독자 노선을 가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기존 진보 지지층에는 "적폐와 한몸"이라는 반감마저 불러오는 형국이다.
지난 6일 심 대표는 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집회 원천봉쇄 방침이 코로나 감염 차단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라는 명분으로 정당화돼선 안 된다"며 "국민의 안전과 기본권 둘 다 중요하기 때문에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철저히 차단해야 하고 그것을 이유로 국민의 기본권 역시 함부로 침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부의 개천절 광화문 집회 봉쇄와 한글날 집회 원천봉쇄 방침을 꼬집은 것이다.
그는 이어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은 국민으로서 양보할 수 없는 최후의 보루다. 특히 집회와 시위의 자유는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권리다. 경찰이 방역편의주의를 앞세워 함부로 침범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심 대표는 전날 열린 상무위원회에서도 강경화 외교부 장관 남편인 이일병 연세대 명예교수가 요트 구입을 위해 미국 여행을 떠나서 논란이 된 것과 관련 "정부 방침에 따라 극도의 절제와 인내로 코로나19를 견뎌오신 국민을 모욕한 것"이라면서 "코로나 방역을 위해 귀성길조차 포기한 국민은 허탈함만 느끼셨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심지어 심 대표는 서해 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군 총격에 숨진 사건에도 정부와 여당에 날을 세우고 있다. 심 대표는 지난달 28일 상무위원회에서 "이번 사건은 북한이 저지른 비인도적인 민간인 살인"으로 규정하고 "절대 북한의 일방적인 해명과 사과로 끝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사과가 진정성을 가지려면 국민이 납득할만한 수준의 철저한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이 뒤따라야 한다"며 "여권 일각에서 우리 국민의 생명보다 남북관계를 우선에 두는 듯한 시각은 교정되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 전날에도 "우리 국민이 북한에 의해 처참하게 살해될 때까지 무능한 감시와 불성실한 대응으로 일관한 우리 군 당국과 정부의 책임도 규명돼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심 대표 발언에 진보 성향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는 "김문수, 진중권에 이어 심상정도 갈 데까지 갔구나" "정의없당에서 이제 정신없당으로 가는거냐?" "정의당은 리틀 국짐당(보수야당 국민의힘을 부정적으로 이르는 '국민의짐' 줄임말)이네"라는 반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