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 남성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바둑 유물이 여성 왕족 무덤에서 나왔다. 지금까지 바둑 유물은 무덤 주인이 남성으로 추정되는 곳에서만 나왔던 만큼 신라인의 바둑문화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자료로 기대된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14년부터 진행한 경북 경주 황오동 쪽샘지구 44호분 정밀발굴조사에서 지난달 금동관 1점과 금드리개 1쌍, 금귀걸이 1쌍, 금·은 팔찌 12점, 반지 10점, 은제 가슴걸이 등 장신구 조합을 비롯해 비단벌레 딱지날개로 제작된 금동장식 수십 점, 바둑돌 200여점, 돌절구와 공이 등을 수습했다고 7일 밝혔다. 쪽샘지구는 신라 왕족과 귀족 고분이 밀집한 곳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이 무덤 주인은 신라 왕족 여성으로 추정된다. 가슴걸이는 남색 유리구슬과 둥글납작한 장신구인 달개가 달린 금구슬·은구슬을 네 줄로 엮어 곱은옥을 매달았는데, 이런 형태는 황남대총이나 천마총 같은 최상위 계층 무덤에서만 확인됐었다.
장신구 조합과 재질 등을 고려했을 때 무덤 주인은 왕족으로 추정되고, 은장식 작은 손칼이 나왔고 장신구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볼 때 여성일 가능성이 높다. 출토 유물의 위치로 볼 때 무덤 주인의 신장은 150㎝ 내외, 축조연대는 5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바둑돌은 무덤 주인 발치 아래에 묻힌 토기군 사이에 200여 점이 모여진 상태로 발견됐다. 지름 1~2㎝, 두께 0.5㎝ 내외의 흑색·백색·회색 돌을 가공하지 않고 자연석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껏 신라시대 바둑돌은 황남대총 남분(243점), 천마총(350점), 금관총(200여 점), 서봉총(2점) 등 최상위 계층의 무덤에서 나왔는데, 이 무덤 주인은 모두 남성으로 추정돼 이 시기 바둑은 남성의 전유물이었을 것으로 이해됐다. 반면 쪽샘 44호분 주인공은 왕족 여성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새로운 해석에 대한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엔 효성왕(재위 737~742년)이 바둑을 뒀고, 신라 사람들이 바둑을 잘 둔다는 내용 등이 나온다. 연구소 관계자는 "신라인의 바둑문화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자료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무덤에선 지금껏 확인된 적 없는 새로운 형태의 비단벌레 금동장식도 나왔다. 비단벌레의 딱지날개 2매를 겹쳐 물방울 모양으로 만들고, 앞뒤 가장자리를 금동판으로 고정했다. 크기는 가로 1.6㎝, 세로 3㎝, 두께 2㎜ 정도다.
비단벌레 장식도 그간 황남대총 남분, 금관총, 계림로 14호 등 최상급 무덤에서만 출토됐다. 이 무덤 주인의 위계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 유물이라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주인공 머리맡 부장품 상자 안에서 나온 돌절구와 공이도 흔치 않은 유물이다. 화강암으로 만든 돌절구는 높이 13.5㎝ 폭 11.5㎝로, 위쪽에 약 60㎖ 용량의 얕은 함몰부가 있다. 약제를 조제하는데 사용한 약용 절구로 추정된다.
지금껏 돌절구와 비단벌레 장식, 바둑돌이 함께 나온 것은 1975년 조사된 황남대총 남분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댓글 많은 뉴스
[기고] 박정희대통령 동상건립 논란 유감…우상화냐 정상화냐
정청래, 다친 손 공개하며 "무정부 상태…내 몸 내가 지켜야"
이재명, 진우스님에 "의료대란 중재 역할…종교계가 나서달라"
‘1번 큰 형(러시아)과 2번 작은 형(중국)’이 바뀐 北, 中 ‘부글부글’
양수 터진 임신부, 병원 75곳서 거부…"의사가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