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은 장신구' 휘감은 신라 여성 무덤서 바둑돌 '와르르'

바둑돌 200여개와 함께 묻힌 1천500년전 신라왕족여성
신라 여성도 바둑 즐겼나?…남성 추정 무덤서만 나온 바둑돌 첫 출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쪽샘지구 44호분 발굴 성과 공개

경주 쪽샘지구 44호분 바둑돌 출토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주 쪽샘지구 44호분 바둑돌 출토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신라시대 남성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바둑 유물이 여성 왕족 무덤에서 나왔다. 지금까지 바둑 유물은 무덤 주인이 남성으로 추정되는 곳에서만 나왔던 만큼 신라인의 바둑문화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자료로 기대된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14년부터 진행한 경북 경주 황오동 쪽샘지구 44호분 정밀발굴조사에서 지난달 금동관 1점과 금드리개 1쌍, 금귀걸이 1쌍, 금·은 팔찌 12점, 반지 10점, 은제 가슴걸이 등 장신구 조합을 비롯해 비단벌레 딱지날개로 제작된 금동장식 수십 점, 바둑돌 200여점, 돌절구와 공이 등을 수습했다고 7일 밝혔다. 쪽샘지구는 신라 왕족과 귀족 고분이 밀집한 곳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이 무덤 주인은 신라 왕족 여성으로 추정된다. 가슴걸이는 남색 유리구슬과 둥글납작한 장신구인 달개가 달린 금구슬·은구슬을 네 줄로 엮어 곱은옥을 매달았는데, 이런 형태는 황남대총이나 천마총 같은 최상위 계층 무덤에서만 확인됐었다.

장신구 조합과 재질 등을 고려했을 때 무덤 주인은 왕족으로 추정되고, 은장식 작은 손칼이 나왔고 장신구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볼 때 여성일 가능성이 높다. 출토 유물의 위치로 볼 때 무덤 주인의 신장은 150㎝ 내외, 축조연대는 5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바둑돌은 무덤 주인 발치 아래에 묻힌 토기군 사이에 200여 점이 모여진 상태로 발견됐다. 지름 1~2㎝, 두께 0.5㎝ 내외의 흑색·백색·회색 돌을 가공하지 않고 자연석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껏 신라시대 바둑돌은 황남대총 남분(243점), 천마총(350점), 금관총(200여 점), 서봉총(2점) 등 최상위 계층의 무덤에서 나왔는데, 이 무덤 주인은 모두 남성으로 추정돼 이 시기 바둑은 남성의 전유물이었을 것으로 이해됐다. 반면 쪽샘 44호분 주인공은 왕족 여성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새로운 해석에 대한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엔 효성왕(재위 737~742년)이 바둑을 뒀고, 신라 사람들이 바둑을 잘 둔다는 내용 등이 나온다. 연구소 관계자는 "신라인의 바둑문화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자료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경주 쪽샘지구 44호분에서 수습한 비단벌레 금동장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주 쪽샘지구 44호분에서 수습한 비단벌레 금동장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이 무덤에선 지금껏 확인된 적 없는 새로운 형태의 비단벌레 금동장식도 나왔다. 비단벌레의 딱지날개 2매를 겹쳐 물방울 모양으로 만들고, 앞뒤 가장자리를 금동판으로 고정했다. 크기는 가로 1.6㎝, 세로 3㎝, 두께 2㎜ 정도다.

비단벌레 장식도 그간 황남대총 남분, 금관총, 계림로 14호 등 최상급 무덤에서만 출토됐다. 이 무덤 주인의 위계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 유물이라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주인공 머리맡 부장품 상자 안에서 나온 돌절구와 공이도 흔치 않은 유물이다. 화강암으로 만든 돌절구는 높이 13.5㎝ 폭 11.5㎝로, 위쪽에 약 60㎖ 용량의 얕은 함몰부가 있다. 약제를 조제하는데 사용한 약용 절구로 추정된다.

지금껏 돌절구와 비단벌레 장식, 바둑돌이 함께 나온 것은 1975년 조사된 황남대총 남분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경주 쪽샘지구 44호분에서 나온 돌절구와 공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주 쪽샘지구 44호분에서 나온 돌절구와 공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대릉원 일원 주요 고분 및 쪽샘 44호분 위치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대릉원 일원 주요 고분 및 쪽샘 44호분 위치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쪽샘 44호분 매장주체부 및 주요 유물 출토 위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쪽샘 44호분 매장주체부 및 주요 유물 출토 위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