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용수 할머니 "하버드대 교수 망언 무시하자" 주장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부' 주장한 하버드대 교수 반박
"오히려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 확산하는 계기 됐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1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1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유엔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촉구 기자회견'에서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3) 할머니가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라고 주장하는 논문을 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를 무시하자고 주장했다.

이 할머니는 17일 오전 하버드대 아시아태평양 법대 학생회가 연 '위안부 역사 왜곡을 바로잡기 위한 온라인 토론회'에 참가해 "하버드대 학생들은 그 교수가 하는 말을 무시해달라"며 "진전 없는 위안부 문제에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지게 돼 오히려 잘 됐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램지어 교수의 발언이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위안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이 할머니는 전날인 16일 서울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에서처럼 마찬가지로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회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국제사법재판소에 가서 이 문제를 완벽하게 따져보는 게 마지막 소원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스가 일본 총리를 설득해 재판소에서 문제를 해결해 줬으면 한다"고 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이 할머니를 비롯해 마이크 혼다 전 연방 하원의원, 미국 시민단체 '위안부 정의연대(CWJC)' 공동의장인 릴리안 싱 등이 연사로 참가했다.

릴리안 싱 공동의장은 "일본 정부가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라는 지위를 이용하고 역사를 왜곡하려는 것"이라며 "이 할머니 주장처럼 국제사법재판소에 가서 당시 있었던 일을 직면한 뒤 과거에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