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진·울릉 전통 돌미역 채취어업 ‘때배’ 국가중요 어업유산 지정

뗏목 등 전통어선 타고 암초 위 미역 채취
조선왕조실록 등 역사 기록 풍부…3년간 복원·계승 국비 지원

울진·울릉 떼배 경주 축제 모습. 해양수산부 제공
울진·울릉 떼배 경주 축제 모습. 해양수산부 제공

경북 울진·울릉 앞바다에서 전통 뗏목을 타고 돌미역을 채취하는 '떼배 채취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

해양수산부는 9일 울진·울릉지역의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을 제9호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오동나무 등 통나무를 엮어 만든 떼배(뗏목)로 미역바위 군락까지 이동해 미역을 채취·운반하는 전통어업이다.

울진·울릉지역 돌미역은 품질이 좋아 조선시대 왕실에 진상했다는 기록이 조선왕조실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남아있을 정도로 유래가 깊다.

이곳의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매년 음력 3~5월 사이 파도가 고요한 날에 이뤄진다.

두 명이 한 조를 이뤄 떼배를 타고 미역바위 군락까지 이동해 한 사람은 창경(수경)을 들여다보면서 긴 낫으로 미역을 자르고, 다른 한 사람은 노를 잡고 낫 작업이 편리하도록 떼배를 움직인다.

채취한 돌미역은 마을까지 운반해 볕이 좋은 백사장의 미역발에 널어서 건조하고, 특히 어촌계는 10~11월 사이 미역바위 닦이를 통해 품질 좋은 미역이 자랄 수 있도록 관리한다.

해양수산부는 국가중요어업유산 자문위원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해 10월 서류평가, 지난 3월 현장평가 및 주민의견 청취 등 종합 평가를 진행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