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미국 국채금리 하락 영향으로 큰 폭으로 올랐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넉달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30포인트(0.1%) 상승한 31,832.7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4.09포인트(1.42%) 오른 3,875.4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64.66포인트(3.69%) 폭등한 13,073.82에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은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큰 하루 상승률을 기록했고, 장중 한때 약 4.3% 폭등했다. 다우지수는 장중 가격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 장중 1.6%를 넘었던 데서 이날 1.5%대 중반으로 내렸다.
이날 미 재무부의 3년 만기 국채 입찰이 양호했던 점이 금리를 안정시켰다. 발행 금리가 낮았고, 응찰률도 2.69배로 최근 6개월 평균보다 높았다. 더 많은 투자자가 국채를 사기 위해 몰렸다는 의미다.
재무부는 다음 날 10년물, 목요일에 30년물 등 국채 입찰을 이어갈 예정이다. 장기물 입찰 결과에 따라 금리의 방향성도 뚜렷해질 전망이다.
미 국채금리가 하락하면서 그동안 금리 상승 부담에 하락했던 기술주가 급상승했다.
테슬라 주가는 19.6% 이상 폭등하며 그동안의 낙폭을 상당 수준 회복했다. 또 다른 전기차 업체인 니오와 샤오펑도 각각 17.44%, 11.33% 급등했다.
애플도 4% 이상 오르고, 페이스북은 4.1%, 엔비디아는 8.03% 가량 급등하는 등 대부분의 핵심 기술주 주가가 큰 폭 상승했다.
최근 강세를 유지했던 경기 민감 종목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경기 민감 대기업 중심의 다우지수는 장중한 때 전장대비 1% 이상 오르기도 했지만, 장 막판에 빠르게 상승 폭을 줄였다.
이날 업종별로는 기술주가 3.41% 급등했고, 커뮤니케이션은 0.92% 올랐다. 반면 에너지는 1.91% 내렸고, 산업주도 0.39% 하락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