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천시의회 A시의원과 가족이 최근 5년간 수차례 토지 매매를 통해 수억원대의 시세 차익을 올린 사실이 알려지면서 땅 투기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A시의원이 도시계획 문제 등을 다루는 산업건설위원회에서 주로 일해왔고, 토지 거래도 개발 호재가 있는 땅에 집중됐기 때문이다.
11일 영천시의회 등에 따르면 A시의원과 배우자 B씨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영천시 완산동과 조교동, 창구동 일원의 토지를 직접 거래 또는 경매를 통해 4, 5차례 사고 팔아 6억원 이상의 수익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토지는 공교롭게도 대단위 아파트 건립, 도로 확장 및 철도 노선 신설 등에 따라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예정된 알짜배기 땅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사실은 A시의원의 공직자 재산공개 내역에서도 확인된다.
A시의원과 가족의 최근 5년간 재산액은 2015년 1억7천만원에서 토지 거래가 활발했던 2017년과 2018년 7억4천만원, 6억1천만원까지 늘었다가 2020년 기준 3억900만원으로 신고됐다.
특히 2015년 2천100만원으로 신고된 보유 토지가액은 2018년 7억2천만원으로 34배나 급증했다가 2020년 기준 6억5천만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같은 기간 채무규모도 2015년 1억7천400만원에서 토지 매입 및 주택 구입 대출 증가에 따라 2020년 8억9천500만원으로 5배 정도 증가했다.
매년 발표되는 공직자 재산공개 내역은 당사자와 배우자, 직계존비속 등의 전년도 12월 31일 기준 재산변동 사항을 포함하며 피부양자가 아닌 직계존비속은 고지 거부를 할 수 있다.
A시의원과 가족의 이같은 토지 거래를 두고 지역 공직사회와 시민들은 '전형적 땅 투기'란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에 대해 A시의원은 "알고 지내는 부동산 중개업자의 적극적인 권유와 함께 부동산 경매 공부를 해 온 배우자가 재테크 및 사업 목적으로 투자했다가 수익을 올린 것일 뿐"이라며 "거래한 땅들은 중장기 도시계획에 개발 내용 등이 이미 공개돼 있다. 시의원직을 걸고 지위나 미공개 정보 등을 이용한 사실이 없다"고 투기 의혹을 반박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