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우연한 기회로 TV 건강 프로그램에 출연할 기회가 있었다. 방송 이후 외래 진료 중 많은 환자분들로부터 방송 잘 봤다는 인사를 들었다.
그 중 일부 환자들은 만난지 1년이 되지 않았던 분들이었다. 지난 1년간 환자를 치료하면서 수술실은 물론이고 외래나 입원 환자 회진시 마스크를 벗은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아마도 나에게 진료를 받은지 1년이 되지 않는 환자들은 내 얼굴을 TV로 처음 봤을 것이다.
자신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의 얼굴도 모른 채 진료를 보다가 화면 속에서 처음 대했을 때 환자들은 어떤 기분이 들었을까.
대학병원 진료실 풍경은 더욱 삭막하다. 마스크는 물론 가림막, 저지선까지 설치돼 있어 멀찍이 앉아있는 환자와 대화를 해야 한다. 이런 진료실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가 의사-환자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의사-환자 관계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정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의사나 환자모두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원하는 바를 알아차릴 때가 많다. 이런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의사-환자간 의료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고 치료 순응도와 예후도 개선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마스크를 쓰면 이런 미묘한 표정변화를 알 수 없다. 홍콩의 연구에 따르면 의사가 마스크를 착용하면 의사의 말에 공감하거나 신뢰하는 비율이 감소했다. 놀라운 것은 이미 의사-환자 관계가 잘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도 의사가 마스크를 착용을 하게 되면 부정적인 인식이 더 크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특히 만성적인 질환을 가지고 오래 진료했을 경우 이런 경향은 더욱 커졌다. 코로나19로 의사, 환자 모두 마스크를 쓰고 있는 지금은 어떨까. 비록 잘 알려진 연구는 없지만 의사도, 환자도 서로의 표정을 읽지 못해 서로에 대한 깊은 신뢰를 갖지 못하는 것은 것은 자명할 것이다.
진료실 내 거리두기는 어떤가. 무엇보다 코로나19는 우리의 전통적인 인사방법도 바꿔놓고 있다. 시술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회진을 갔더니 환자가 자신을 수개월간 괴롭혔던 가슴통증이 없어져서 이제는 쓰레기도 버리러 나갈 수 있게 되었다고 손을 잡고 놓아 주지 않아 당황한 적이 있었다. 환자들이 진료에 대한 만족감의 표시로 손을 잡아 신뢰를 표현할 때가 많은데 코로나19 시기에는 허용되지 않는 행태이다.
또 의사-환자간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거리는 1m 이내이다. 건강문제는 다른 사람에게는 알리고 싶지 않은 사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가까운 거리일수록 더 깊은 내면의 이야기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코로나 19는 의사-환자간 적어도 2~3m 이상 떨어져서 대화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더구나 의사와 환자 사이에가림막까지 설치돼 있어 어지간히 크게 말하지 않고서야 대화조차도 힘들다. 이렇게 해서는 속에 있는 말을 다 할 수가 없다.
코로나19 시기 의사-환자간 신뢰를 다시 구축할 방법은 없을까? 마스크 대신 얼굴이 보이는 투명한 얼굴가리개를 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바이러스의 확산방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원격진료는 어떨까. 비록 완전한 대면진료는 아니지만 환자의 얼굴을 보며 비언어적 소통이 가능하며 거리두기를 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아직은 기술적인 준비가 더 필요하다. 무엇보다 나로서는 코로나 19 이전처럼 환자들에게 손을 한번 내어주고 싶을때도 많아 아무래도 어색한 방식이다.
이장훈 경북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
"진짜 사장 나와라" 노란봉투법 통과에 하청노조 요구 빗발쳐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