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음 달 낙동강 수계 취·양수장 시설개선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열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낙동강 보 철거·개방이 수질 개선에 도움을 준다는 근거가 불명확한 상황에서 보 철거·개방 전 단계로 의심받는 취·양수장 시설개선 추진을 굳이 밀어붙이는 이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13일 환경부가 공개한 낙동강 등 11개 보 관측 결과에 따르면 개방 뒤 녹조나 수생태계 지표는 일시적으로 개선됐으나 일반적 수질 지표인 유기물, 영양염류 함량 등은 일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 공주보는 보 개방 전(2013~2016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수치가 2.6㎎/ℓ였으나 개방 후(2018~2020년) 2.9㎎/ℓ로 오히려 증가했다. 보 구간 수질 지표의 보 개방 전·후 변화가 일률적이지 않아 개선 효과를 단정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정부는 낙동강 수계 보 처리방안 마련을 위한 수순을 밟고 있다. 특히 핵심 선결과제로 꼽히는 취·양수장 시설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취·양수장 취수구가 높아 보 철거·개방 시 물을 끌어올릴 수 없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처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어서다.
정부는 최근 낙동강 수계 취·양수장 시설개선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위해 대상지역 및 참석자 수요 조사를 벌였다. 지난 2월 낙동강 유역 물 관리 종합계획 등을 담당하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해당 안건을 상정해 통과시킨 뒤 여론 수렴에 나선 셈이다.
설명회에는 구미·상주·의성·고령·성주·칠곡·예천 등 7개 시·군 낙동강 인접 읍·면을 대상으로 마을이장, 지역주민, 농민대표 등이 참석할 전망이다.
지역 농민들은 정부가 보 처리방안 마련이 아니라 비상상황 대비용으로 취·양수장 시설을 개선해야 한다고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보 철거나 상시개방 전 단계라고 보고 있다.
앞서 이러한 의구심 해소 없이 시설개선 계획을 유역물관리위 안건으로 상정·처리해 "정부가 임기 말 시설개선 계획 못 박기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주민설명회 등 정부 정책 추진에는 협조하겠으나 보 철거나 개방을 전제로 한 시설개선이 현실화하면 지역여론 등을 반영해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