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코노 피플] 김강석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중소기업회장

"노동친화, 기업규제 정책으로 경영 더욱 어려워…중소기업계의 화두는 생존"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중요성 강조 "기초지자체 차원 조례 제정 추진할 것"

김강석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중소기업회장. 신중언 기자
김강석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중소기업회장. 신중언 기자

"어려운 시기에 마음이 무겁지만, 지역경제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다해 볼 생각입니다."

김강석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중소기업회장은 13일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지역본부에서 이 같은 취임소감을 밝혔다. 지난달 30일 제 9대 지역회장으로 위촉된 김 회장은 지난 1977년 삼익양말을 창업해 현재까지 대표로 재임하는 등 40여 년간 대구의 뿌리산업인 섬유업종에 종사해왔다.

김 회장은 지난해 코로나19로 크게 뒷걸음질 친 지역의 경기를 생각하면 마음이 무겁다고 했다. 내수·수출 부진과 기업들의 투자 감소 등으로 지역의 핵심 산업들의 침체가 고착됐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은 대구경북의 기업들은 하루아침에 판로가 끊긴 와중에 대출만기까지 다가오는 등 궁지에 빠졌다"며 "특히 섬유, 자동차 부품 등 뿌리산업들의 어려움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의 부담을 키우는 요인은 그뿐만이 아니다. 산업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를 무겁게 처벌하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지난 1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고, 오는 7월부터는 주 52시간제가 50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될 예정이다. 더욱이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논의도 앞두고 있어 중소기업 입장에선 엎친 데 덮친 격인 셈이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현재 중소기업계의 화두는 생존이다. 그러나 최근 정부가 노동친화, 기업규제 강화 정책을 펼치면서 경영환경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며 "단기적 지원정책보다도 기업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기반이 조성이 우선돼야 하는데 아직은 보완할 부분이 많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김 회장이 제시한 지역 중소기업의 생존을 위한 해법은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은 원자재 공동구매, 공동생산 등 협업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네트워크 조직이다. 비영리조직인 협동조합의 수익은 조합원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배분되기 때문에 공동체가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김 회장은 "협동조합은 규모가 열세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성장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이라며 "지난 2019년 대구시가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조례를 제정한 것을 기반으로 올해는 기초지자체 차원의 조례 제정을 추진하려 한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