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사의 백신 접종은 금요일에만?

노조, '수업 공백 피하려 금요일 접종 강요'
교사의 건강권을 고려 않는 처사라는 주장
대구시교육청, '자율적 학사 운영만 안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2차 접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14일 오전 서울 중랑구청 보건소에서 의료진이 백신 접종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2차 접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14일 오전 서울 중랑구청 보건소에서 의료진이 백신 접종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부 학교가 교사들에게 금요일에 코로나19 예방 백신 접종을 하도록 사실상 강요한다는 불만이 나와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교사의 건강권을 생각하지 않는 처사라는 비판과 수업 공백을 고려한 것이라는 반론 등이 맞서는 형국이다.

대구교사노동조합은 18일 성명을 내고 "일부 교장(원장)과 교감(원감)이 교사들에게 금요일 오후에 백신을 접종하라고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질병관리청이 유치원 교직원과 초등학교 1~2학년 교사, 어린이집 교사 등을 대상으로 13일부터 백신 접종 사전 예약을 받고 있는 와중에 이 문제가 불거진 것이다.

수도권에서 먼저 논란이 된 문제지만 대구도 예외가 아니라는 게 대구교사노조의 주장이다. 이들이 구두로 제보받은 사례 중에는 '수요일 백신을 맞기로 했던 보건교사에게 교감이 보건소에 연락해 금요일로 접종일을 바꾸라고 했다. 임신 사실이 확인돼 예약을 취소할 수 있었다'는 내용도 있었다.

대구교사노조는 "이대로라면 백신을 맞은 다음날인 주말 아프면 응급실에 가야 한다. 전문적인 치료를 받기 어렵다. 교사의 건강권을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이런 상황이라면 교사들이 백신 접종을 거부, 결과적으로 백신 접종률이 떨어질 수도 있다는 주장도 폈다.

이들은 "일부 관리자와 교감회는 특정 시간, 특정 요일에 교사에게 백신 접종을 권고하는 일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며 "대구시교육청은 기간제 교사 인력풀을 확충, 현장 수업 공백을 최소활 수 있게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학부모 등 일부에선 수업 공백을 먼저 고려하는 자세가 아쉽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정 요일에 접종하도록 강제한다는 게 문제의 소지는 있으나 학사 일정을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선 불가피한 일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초1 자녀를 둔 학부모 A 씨는 "다들 힘든 상황에서 이 정도는 서로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이라 생각한다. 나라면 금요일이라도 좋으니 일단 빨리 맞고 싶다. 그래야 아이가 좀 더 안전할 것"이라며 "수업에 공백이 생기는 것이 신경 쓰인다면 교사들 역시 금요일에 접종하는 게 더 마음이 편하지 않느냐"고 했다.

대구시교육청은 대구교사노조가 얘기하는 임의단체 '교감회(초등)'가 대구에 없다고 했다. 이곳 관계자는 "금요일 백신을 접종하라고 권고한 바 없다. 백신 접종 시 학교장 재량휴업일 등 학교 상황에 맞게 자율적으로 학사 운영을 하도록 안내했을 뿐"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