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순 시인의 스무 번째 신작시집 '신종족'이 '詩와에세이'에서 나왔다. '신종족'이라는 시집 제목은 시집에 실린 63편 작품(산문 포함)의 상당수(58편)를 차지하는 제목 '~족(族)'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시적 장치로 흔히 쓰이는 상징이나 비유는 보이지 않는다. 작품 대부분이 구술하는 듯 직설적이다. 편히 읽힌다.
'워낙 / 취업이 어려우니 / 먹고 살려고 다니지요 / 하루종일 알바에서 알바로 / 뛰어다니며 해가 집니다 / 생계형 알바 / 대학 졸업하고 10년째 / 정규직 일자리 못 구했습니다 / 부모님과 친구들 보기가 / 면구스러워요 / 새벽 5시부터 팔려 가는 / 막노동 많이 다녀보았지요 / 정확히 말하면 건축 현장 일용직 / 날 궂거나 몸 아프면 / 그냥 쉽니다 / 주유소 세차장 대형마트 / 음식점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 대리운전 목욕탕 청소130 / 상품 포장이나 행사 예식 도우미 / 컴퓨터 출장 수리 / 프린터 토너 바꿔주기 / 이런 곳에서도 / 청년층 중장년층 은근히 / 세대 간 경쟁 갈등 치열하더군요 / 그냥 이렇게 나날이 / 줄타기하듯 살아갑니다 / 나를 측은히 보는 그런 눈길 / 너무 싫어요.' (詩 '프리터족' 전문)
시인은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 '개밥풀', '물의 노래', '지금 그리운 사람은', '좀비에 관한 연구', '강제이주열차', '독도의 푸른 밤' 등이 있고, 한국가요사를 다룬 '번지없는 주막'을 펴낸 바 있다. 영남대 명예교수이자 계명문화대 특임교수다. 176쪽. 1만2천원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