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우리나라 수입물가가 4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약 7년 만에 최고치를 세웠다. 수출물가도 9개월째 상승세다. 다만 수출입 물가 모두 상승폭은 둔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8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 수준 100)는 120.79로 7월(120.05)보다 0.6% 상승했다. 2014년 4월 이후 기간인 7년4개월 내 최고기록이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로는 21.6% 뛰었는데, 이는 2008년 12월(22.4%) 이후 가장 높았다.
수입물가는 8월 국제 유가(두바이유 기준)가 한 달 새 4.7% 하락했지만, 중간재 가운데 1차금속제품(1.9%)과 화학제품(1.7%) 등이 오른 탓에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다만 유가가 떨어지면서 수입물가 오름폭은 줄었다.
8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7월(111.58)보다 1.0% 높은 112.72다. 작년 11월(0.6%) 이후 9개월째 상승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8.6% 뛰었다. 공산품이 수출물가 상승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7월과 비교해 1차금속제품(3.3%), 화학제품(1.6%), 섬유·가죽제품(1.6%)이 상승했다. 다만 농림수산품은 0.9% 떨어졌다.
최진만 물가통계팀장은 수입 물가가 상승한 데 대해 "일부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요 증가 등으로 수입 물가 상승세가 이어졌다"고 했고, 수출 물가 상승에 대해서는 "원/달러 환율 상승과 수요 증가 등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